아하
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2.01

물이 끓을때 왜 바닥에서 공기가 올라오나요?

물을 끓이면 냄비 바닥부분에서 공기가 뽀글뽀글 올라오잖아요
이걸 우리가 물이 끓는다고 하는데
공기가 나오는 이유가 뭔가요?

어떻게 나오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써니 1031
    써니 1031
    22.12.01

    안녕하세요. 써니 1031입니다.

    물은 끓으면 증기로 변하지요.

    물이 증기가 되기 위해서는

    증기가 되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열을 받아야 하거든요.

    그래서 증기는 냄비의 바닥에서

    부터 만들어지지요.

    물을 끓일 때 자세히 관찰하면

    처음에는 냄비 바닥에 공기

    방울 처럼 보이는 증기 방울들이

    많이 생기고 그 다음에는 이 증기

    방울 들이 위로 올라오다가

    팔팔 끓을 정도가 되면 물이 막 돌아 다니는 것처럼 소용돌이가 치지요.

    이 증기는 당연히 물보다

    가볍고 온도도 높으므로 냄비의 바닥에서 부터 올라 옵니다.

    그 다음에 물의 표면에 올라오면서

    바깥의 공기와 만나면 터지게 되지요.

    이런 증기방울이 점차 증가하면서

    물이 부글부글 끓게 되지요.

    그러다가 불을 끄면 순간적으로

    하얀 김이 많이 많이 생기지요.

    이것은 더 이상의 열을 받지 못하므로 표면으로 올라 온 증기 방울 들이 한꺼번에

    터지면서 수증기로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