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투심이 너무 많은 7세 여아 아이 이대로 두어도 될지 궁금합니다
다른 사람 칭찬 하는것도 못보고 다른 사람이 자기보다 좋은거 이쁜거 가지고 있어도 샘을 냅니다 질투심이 심해지면 울고 삐지고 장난이 아닙니다 이런 성격 고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타고난 아이의 성향 일수도 있고 자녀에 대한 기대가 지나치게 많은 가정 환경에서 나타나는 아이의 모습 일수도
있어요
항상 다른 친구보다 잘해야 한다는 마음에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누구나 칭찬 받을 자격이 있고 나보다 좋은 물건을 가질 수도 있다고 이야기 해주고 교육 시켜 주세요
타고난 성향이라면 완전히 고치기는 어렵습니다
지나치게 행동하지 않으면 될 것 같아요
나보다도 잘난 사람이 있을 수도 있다고 이야기해주고 아이가 이해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1명 평가아이가 질투심이 많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보통 질투의 원인은 자아존중감 부족, 부모의 관심 부족, 사회적 비교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대처하는 방법은 감정 인정하기, 자아존중감 키우기, 다름을 이해시키기, 협력 강조하기 등이 있습니다.
그 중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
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7세는 자존감이 형성되는 시기입니다. 그리고 질투도 자연스러운 감정입니다. 하지만 반복되면 공감훈련과 감정 조절 연습이 충분히 연습하는게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7세는 자이가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질투심은 자연스러운 감정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도록 도와주시고, 비교보다는 아이의 강점을 인정해 주는 방향으로 가정에서도 지도하고, 교육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이를 향한 지속적인 관심과 공감, 그리고 훈육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가 될 수 있으니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노력을 꾸준히 실천해 나가도록 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우선 아이가 질투심을 느낄 때 그 감정을 부정하지 않고 인정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너가 그런 기분이 드는 건 이해해 다른 사람이 가진 것을 나도 갖고싶을 떄가 있을 거야"라고 말해주는 것은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느 ㄴ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면, 감정 조절을 배우는 데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질투심을 다루는 구체적인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질투를 느꼈을 때 자신을 진정시키는 방법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7세 아이의 질투는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지나치면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공감과 배려를 알려주며 긍정적 관심을 균형있게 나눠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무조건 질투하면 안된다고 말하기 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기 보다는 아이가 가진 장점을 인정하고, 아이의 시도와 노력에 칭찬을 해주세요
아이의 올바른 감정 표현 방법을 알려주고 올바른 표현에는 칭찬을 하여, 긍정적인 행동을 반복하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