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안암쪽은 왜 이렇게 길도 좁고 개발이 안된 것 같죠?
이번에 고대 안암쪽을 한 번 가봤는데요. 너무 언덕이고 길도 좁고 개발이 안된 것 같더라고요.
이 지역이 개발이 잘 안된 이유가 있을까요?
원래 성북동이면 부자들이 사는 동네라고 생각했는데, 좀 낙후된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이번에 고대 안암쪽을 한 번 가봤는데요. 너무 언덕이고 길도 좁고 개발이 안된 것 같더라고요.
이 지역이 개발이 잘 안된 이유가 있을까요?
원래 성북동이면 부자들이 사는 동네라고 생각했는데, 좀 낙후된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 구도심이라고 그렇습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재개발사업을 통해서 지역 기반시설 등을 보완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안암쪽은 학생들이 많은관계로 임대인들이 전월세를놓다보니 이미 난개발로 용적률을 많이 사용해서 확장을 했다고 합니다
다시 개발을 한다고 해도 용적률이 적어서
추가분담금이 많아지므로 재개발이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성북동이 부자가 사는 곳이라는 이미지는 청와대와 인접했던 입지특성상 삼청각 주변으로 권력층등의 고급주택가등이 형성되면서 평창동등과 함께 부촌이미지가 생긴것인데, 사실 지금과 같은 생활편의 입지보다는 프라이빗한 느낌의 주택단지입니다. 그리고 고대안암쪽은 현재도 일부 개발중에 있으나, 대규모 재개발은 어려운 지역인데, 이유는 대학교 및 대학병원이 중심지역에 있으면서 개발가능한 부지가 적고, 그 주변으로 상가와 같은 상권등이 많고, 학생들의 위한 소형원룸등이 워낙많기에 개발을 하기에는 비용에 대한 부담도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대학가 인근은 애초부터 땅 값이 비싸서 개발이 어렵습니다.
개발하고 싶어도 토지 보상금이 너무 높으니까요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성북구 내 여러 지역은 오래된 주택들이 많지만, 재개발 추진이 원활하지 않은 곳도 많습니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기반시설 부족이나 주민 간 의견 차이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서울의 다른 중심부 지역에 비해 재개발 속도가 느리고, 낙후된 이미지가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즉, 지형적 어려움, 역사적 보존 및 대학 상권 등의 특성으로 인해 다른 서울의 개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발 속도가 느린 편입니다. 성북동의 고급 주택지 이미지는 여전히 남아 있지만, 안암동과 인근 지역은 발전이 더딘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