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그윽한카멜레온182
그윽한카멜레온18223.03.29

왜 원화채권투자자의 기대수익률이 오르는 것이 원화 강세를 의미하나요

원화채권 투자자의 기대 수익률이 오르는 것이 원화 강세를 의미하나요? 오히려 채권의 기대수익률이 올라가면 주가와 부동산의 가치는 하락해서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이 빠져나가면서 원화 약세 의미를 하는것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와 예금 금리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즉, 기준금리가 높으면 예금 금리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준금리와 예금 금리는 같은 시점에 변동되는 것이 아니라, 예금 금리는 기준금리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변동 시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원화채권의 기대 수익률과 원/달러 환율은 일반적으로 역의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즉, 원화채권의 수익률이 오르면 원화가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원화채권에 투자를 더 많이 하게 되면서 원화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채권 수익률과 주식, 부동산 시장은 일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채권 수익률이 오르면 주식, 부동산 시장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외국인들이 주식, 부동산 시장에서 빠져나가게 되면서 원화 약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화약세의 경우는 원달러 환율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환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금리시장을의 상품을 매도하고 달러로 환전하는 유인이 크게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회 채권 금리 상승은 해당 국가의 경제성장이나 인플레이션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원화 환율이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해당 국가의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해당 국가의 채권을 매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국가의 화폐인 원화가 수요 증가로 인해 강세를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화채권 투자자의 기대 수익률이 오르면 원화 강세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채권 수익률이 오르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이 빠져나가면서 원화 약세 의미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채권 수익률이 오르더라도 원화 강세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