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파란고릴라52
파란고릴라5224.03.18

최근 전세사기 피해의 주된 원인 무엇인가요?

최근 뉴스에서 전세사기 피해에 대한 뉴스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전세사기가 발생하는 주된 원인과 이유, 어떤 맹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사기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전세자금대출이 생각보다 까다롭지 않아 시세대비 높은 보증금등에 대한 대출실행이 어렵지 않다는 점과 갭투자등과 같은 부동산에 대한 투기수요가 많다는 점, 그리고 이전보다 부동산 하락에 따른 깡통전세나 임대인 보증금 미반환사고가 많아진 점도 이유가 될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예를 들어 10억 짜리 집을 전세 7억에 집주인 3억하여 순수 3억으로 갭투자를 해 놓습니다.

    즉 자기돈 3억과 임차인 돈 7억으로 집을 소유했다가 만일 집값이 20억으로 오르면 임차인에게 7억을 줘도

    투자자는 13억을 가지는 투자인데 이게 역으로 집값이 5억이 되어버리면 임차인에게 7억을 줄 돈이 없어져 버립니다.

    즉 집값 5억에 다시 2억을 구해서 임차인에게 줘야 되는데 그럴 여력이 없어져 버려 그냥 경매로 넘겨버리는 현상이

    지금 나타나고 있는 전세의 형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사기는 결국 부동산 하락으로 인해 전세가가 매매가보다 높아지게 되어

    역전세가 벌어지는게 원인입니다.

    여기서, 집주인이 변제능력이 전혀 없는 매수자에게 등기를 고의로 넘기는걸

    전세사기라 표현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인이 여러채를 가지고 높은가격에 전세를 놨는데 집값과 전세값이 떨어지는 바람에 전세가를 내려서 집을 내놔야 하는데 돈이 없으니 전세가를 계속 내려서 빼줄수가 없어서 도미노처럼 쓰러지는 경우가 전세사기로 이어지는것입니다

    요즘은 주로 전세사기가 이런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전세를 얻을때는 전세가가 낮고 전세보증보험에 가입이 되는 금액인지 확인을 하고 얻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 보다 매매가격이 낮아 발생하눈 것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오를 땐 상관이 없지만

    매매가격이 하락할 때 전세가 보다 낮아지면

    보증금을 못돌려줄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사기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인간의 욕심이지 않을까요?

    의도치 않게 전세보증금을 반환해 주지 못하는 경우가 아닌 처음부터 작심하고 의도해서 사기를 치는 경우의 주된 원인은 욕심입니다.

    전세 계약시 보증보험을 적극 활용하심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