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8.03

우리나라의 유교사상은 언제부터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유교사상이 중심 이라고 배웟는데요

유교사상이 언제부터 전해져 내려 온 것인가요??

그리고 어느 나라로 부터 영향을 받았을 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의 사상으로 집대성된 유교사상이 전래한 시기는 서기전 3세기 위만조선과 한사군시대로 추정되며 공자의 경학사상이 본격적으로 수입되고 활용된 것은 삼국시대 입니다.

    삼국 가운데 중국과 인접한 고구려는 먼저 중국 문화와 접촉해 수용, 발전시키기에 적합한 위치였고 다음으로 백제가 해상으로 중국과 통행하믕로 유교를 비롯한 여러 문물, 사상을 받아들여 발전시켰으며 신라는 한반도의 동남방에 돌아앉아 중국과는 거리가 있었으며 유교 문화 역시 고구려 , 백제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유교사상은 고대 한국에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유교는 중국에서 시작하여 한국과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국가에 큰 영향을 끼치는 종교, 철학, 사상 체계입니다. 이것이 중국 유교가 한국에 전해져서 한국의 문화와 사회에 깊이 뿌리를 내렸습니다.


    유교의 기원은 중국의 지성계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한국에 유교가 전래된 시기는 선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선조들은 중국의 유교 사상을 도입하면서 더불어 기독교와 불교가 유입되기도 했습니다.


    조선 시대(1392년 - 1897년)가 유교가 가장 강력한 시기로, 정치, 사회, 교육, 예술 등 모든 측면에서 유교 사상이 국가적 사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유교의 학문이나 의례, 제도가 촉진되었고, 아주 유익하게 퍼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조선 시대의 사상적으로, 네이티브한 유교 사상도 형성되어 그 시기 한국 사회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 사회에서 유교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약해지면서 다양한 사상과 종교가 공존하는 현대 사회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유교 사상은 한국 문화와 사회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는 공자의 가르침으로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면서 한나라 때부터는 나라를 다스리는 사상이 되었습니다. 유교는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 시대 이전에 한문과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왔습니다. 인, 의, 예, 지, 신 등의 도덕적 덕목을 중시한 사상으로, 1392년 조선왕조 개국과 더불어 유교적 체제를 통하여 새로운 이상사회를 구현하려 했습니다.

    조선의 지배계층인 양반은 그들의 주거를 유교적인 이념과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곳으로 인식하였습니다.

    생활적 측면뿐만 아니라 유교적 가치관은 조상숭배, 내외사상에 의한 남녀유별, 장유유서, 신분제도에 의한 상하 계층의식 등을 통해 나타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