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노후 대비 어떻게 하고 계시나요?
노후대비 3층 준비라고 해도 국민연금은 고갈되서 못받을것 같고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소득공제되는 만큼인 년900만 배우자와 저 각각 하고 있어요. 여기에 멀 더 준비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여력이 된다면 소득공제금액만큼만 준비하기보다 개인연금도 준비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노후에는 무엇보다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큽니다 중대질환에 대비하여 진단비 수술비 치료비 간병보험정도는 대비를 해두는것도 노후를 준비하는 과정중의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시면서 IRP, IAS 등으로 준비하시는분들도 계시고 따로 연금보험의 비과세 상품으로 추가 보완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연금보험은 일정 조건을 갖추면 추후에 비과세로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제적 여건만 되신다면 비과세인 연금보험을 추가로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보험전문가입니다.
장기적으로 준비를 한가지 더하신다면
저축보험도 하나 준비하시면 좋습니다.
10년이상 유지시 이익분에 대해서는 비과세 이므로, 이자가 그대로 내 수중으로 들어온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니면 배당주ETF 혹은 배당주 주식을 통해서 정기적인 수익을 기대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IRP까지 이미 하고 계시다면, 노후에 건강보험료에 영향을 주지 않고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 아닌 비과세 연금보험을 추천드립니다.
보험차익에 대해서도 저축성보험한도 안에서 (거치의 경우 연1억원, 월적립식 150만원 이하) 세금을 떼지 않구요.
여기에 더해 최후의 보루로 주택연금까지 고려해보신다면, 4중연금 체계 모두를 준비하시는 것이라 더할 나위없이 좋을 듯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상품 중에서도 연금보험이나 변액연금, 또는 자산배분형 상품도 고려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부동산이나 기타 투자도 병행하면 더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