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실비 청구시 보상액은 어떻게 책정되나요
병원실비를 청구하면 병원마다 보상액이 다른데 어떤 기준으로 보상액을 산정해서 지급 해 주나요? 약제비는 얼마 공제후 보상을 해 주는지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청구시 보상금액은 세대별 실비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부담긍 공제는 의원급 병원급 상급병원급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가입하고 있는 보험사의 담당설계사에게 문의하여 도 되며 보험사 고객센타나 보상과에서도 확인 기능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가입한 실비에 따라 급여 비급여. 자기부담금을 제외하고 25만 한도내에서 보장합니다.
약값은 최소 8천원 자기부담금이 있으며 5만원까지 보상됩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보험에서 병원비 청구시에는 가입됀 실비보험의 보장 기준으로 보상합니다.
약제비는 1세대실비는 병원비와 약제비 포함하여 5천원 공제후 지급
2세대부터는 약제비의 보상은 가입더ㅣㄴ 보험사의 실비 상품에 따라서 다르지만
하루 통원 한도는 5~10만원이며 자기부담금은 8천원입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자기부담금은 가입한 실손의료비 상품의 시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현재판매되는 4세대 실손의료비는 급여20%, 비급여 30%와 기본 공제금액 1만~3만원 중 큰 금액을 통원당 제외하고 지급처리합니다.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 청구시 병원별 공제(의원,병원/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 or 의료비(급여/비급여)의 일정비율 둘중 큰 금액을 공제한 금액으로 보험금을 지급해줍니다.
약제비 같은 경우에도 일정 금액을 공제한 뒤 보상됩니다.
가입하신 실비마다 조금씩 공제되는 금액이 상이하기에 가입하신 실손의료비를 먼저 확인하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정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 가입 시긴에 따라 공제 금액이 다릅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4세대 실손보험 기준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상해/질병 급여>
-입원 : 5천만원 한도에서 80%보장
-통원/조제 : 20만원 한도에서 의료기관별 1~2만원과 보장대상의료비의 20% 중 큰 금액 공제
(단, 의원/병원 1만원, 종합병원 2만원 기본공제)
-> 간단하게 20%가 자기 부담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상해/질병 비급여>
<입원> 5천만원 한도에서 70%보장
<통원/조제> 20만원 한도에서 의료기관별 1~2만원과 보장대상의료비의 30% 중 큰 금액 공제
<3대 비급여> 1회당 3만원과 보장대상 의료비의 30% 중 큰 금액을 공제
① 도수치료/체외충격파/증식치료 연간 350만원 한도
② 비급여주사료 연간 250만원 한도
③ 자기공명영상진다(MRI) 연간 300만원 한도
- 입원 30%
- 통원/조제 (외래1건당/1일) 30% / 연간 100회 한도
(단, 3만원 기본공제)
- 3대비급여 30% (단, 3만원 기본공제)
(도수치료/체외충격파/증식치료 합산 10회 한도, 주사료 50회 한도)
-> 간단하게 30%가 자기 부담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이 지역의원이냐 상급병원이냐에 따라서 공제금액이 달라집니다.
4세대 실손보험에서 보장한도에서 통원의 경우에 소규모 병원, 의원급은 최소 1만원이고요. 상급 및 종합병원은 최소 2만원인데요. 해당 공제금액과 계산된 비용의 20% 중 큰 금액을 공제합니다. 그리고 비급여는 공제금액이 3만원 정도 되고요. 계산된 비용의 30% 중에서 큰 금액을 공제하게 됩니다. 약제비는 8천원 또는 조제비 20% 중 큰 금액을 공제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가입하신 세대별로 자기부담금은 좀 상이합니다.
즉, 현재 가입되는 4세대의 경우에는 급여 20%,비급여 30% 또는
병의원급은 1만원, 종합병동급은 2만원 중 높은 금액을 제외하고 보상을 합니다.
단, 해당 기준에는 앞서 세대와는 다르게 약제비 포함 기준입니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약제비가 2만원, 병원비가 1만원이었다고 가정을 하면
앞서 언급하여 드린 높은 금액 중 1만원을 제외하고 2만원을 보상해준다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마다 보상액이 다른 것이 아니고 가입하신 보험사와 특정 상품에 따라 달라지며, 또한 몇세대 상품이냐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2세대 실비만 해도 동네병원은 1만원이 자기부담으로 빠지고 약값도 7~8천원 이상 되어야 청구가 의미가 있습니다.
몇 세대 실비보험인지, 그리고 가입하신 실비보험 약관을 잘 살펴보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실비보험은 병원마다 보상액이 다를수 있습니다.
그이유로는
병원의 진료비 차이
비급여 항목 차이
약제비 차이
자기부담금 적용방식
따라서 병원 선택에 따라 실비보험에서 보장받는 금액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비용을 절감하려면 비급여 항목이 적고 비용이 합리적인 병원을 선택하는것이 유리합니다.약제비의 경우 2009년 10월 이전 가입자는(구실손보험) 자기 부담금 없이 전액보장
2009년 10월~2017년 3월 가입자(표준화 실손보험) 자기부담금 5천원
2017년 4월 이후 가입자 (신 실손보험) 급여 : 공제 5000원 공제 후 90프로 보장
비급여 : 보장제외 (비급여는 본인부담)
2021년 7월 이후 가입자 (4세대 실손보험) 급여 : 공제금액 3000원 이후 80%보장
비급여 : 보장제외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가입하신 약관마다 상이합니다. 가령1세대 인 경우 5천원공제되구요 2세대의 경우 의원인경우1만원공제 병원인경우1.5만원 상급종합병원경우2만원 약제8천원 공제됩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병원실비를 청구하면 병원마다 보상액이 다른데 어떤 기준으로 보상액을 산정해서 지급 해 주나요? 약제비는 얼마 공제후 보상을 해 주는지요?
: 우선 질문하신 것이 통원치료시 자기부담금에 대한 질문으로 보입니다.
이는 가입한 실손보험이 몇세대인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2세대, 3세대 (2013.04~2021.06월까지 가입계약)의 경우에는
위원급 : 10,000원 / 병원급 : 15,000원 / 종합병원 : 20,000원 과 급여 10% + 비급여 20%의 금액중 큰 금액을 공제하게 되고,
4세대)2021.07월부터 현재까지 가입계약)의 경우에는
급여의 경우에는 위원급, 병원급 : 10,000원 / 상급, 종합병원급 : 20,000원 또는 20%의 금액중 큰 금액을 공제하고,
비급여의 경우에는 30,000원 또는 30%중 큰 금액을 공제하게 됩니다.
약제비에 대해서도 세대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2세대의 경우에는 10%을 공제하고, 3세대는 20%, 4세대는 20%를 공제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 가입시기에 따라 공제금액이 달라 정확한 답변을 드리지 못해 아쉽습니다.
4세대는 통원의료비 급여는 병원규모에 따라 1만원~2만원과 의료비의 20% 중 큰 금액을 공제하며 비급여는 3만원과 30% 중 큰 금액을 공제합니다.(약제비포함)
2.3세대는 약제비 자기부담금 8천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