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촬영시 금속있으면 안되잖아요
3.0T mri 를 찍었습니다.
촬영부위는 고관절 입니다.
몸에 금속 장신구 있는지 확인후.
제가 쓰고 있는 마스크는 철심이 있다며 철심 없는 마스크로 바꿔주고 mri 촬영을 하였습니다.
제가 원피스를 입어서 바지만 따로 줘서 입었고요.
집에 와서 옷갈아입다보니 브라후크가 금속재질이네요.
속옷탈의하라는 말은 없었어요 ㅠ ㅠ.
브라 후크로 인해 제 몸과 검사결과에 영향이 있을까요?
그리고 mri 다시 촬영하자고 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속옷에 달려있는 후크로인해서 영상이 제대로 찍히지않을 가능성은 낮은데요 그래도 불안하다면 검사를받은 병원측에 문의해보시고 MRI가 제대로 촬영되지않은상태라면 재촬영이필요하겠지만 그렇지않다면 다시 찍을필요는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그런 것 보다는 MRI 는 자기장 성분을 띠기 때문에 간혹 자성을 띤
물체가 몸에 있는 경우, MRI 기계가 돌아가면서 해당 금속이 MRI 기계로
빨려 들어갈 수 있으며 이 때 몸도 같이 끌려가면서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간혹 임플란트가 있다가 기계 쪽으로 붙으려고 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며 자성을 띠지 않는 금속은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브라 후크 같은 작은 금속은 3.0t, mri에서 고관절 촬영 시 위치가 멀어 영상 왜곡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다만 금속 주변 부 촬영이라면 인공 음영이 생길 수 있어 고관절은 흉부보다 아래라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몸에 해가 되진 않지만 다음 촬영 시는 속옷도 금속 없는 것으로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재촬영 여부는 영상 판독 후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안내할 것이므로 우선 결과를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MRI 촬영시 금속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안전때문입니다.
후크 있는 브라는 위험할 수 있는데 아무 일도 없으셔서 다행입니다.
검사가 끝났다면 환자분 안전에 위협은 없습니다.
영상의 quality의 경우는 고관절이면 브라 후크와 위치가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영향을 많이 받지는 않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
촬영부위가 고관절 부위이고 상의 속옷의 후크가 금속 재질이었다면 MRI 검사에는 큰 문제가 없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MRI 검사를 시행할 때 실시간으로 영상의 해상도와 상태를 확인하게 되는데 문제가 있었다면 검사를 할 때 이야기를 하고 다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검사 당시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면 검사 결과에는 상기 상황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MRI 촬영 부위가 고관절 부위라면 브라 후크는 영상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고관절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MRI 촬영부위가 복부와 가슴 부위가 아니라면 브라 후크가 문제가 되지는 않으실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속옷 후크에 있는 금속은 MRI촬영결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낮습니다.
촬영부위와 물리적인 거리가 있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정확한 재검여부는 검사를 받으신 병원에 문의하셔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로썬 mri 검사를 고관절로 하셨기에 큰 영향은 없을것 같습니다.
금속 제거를 하는 이유는 자기장에 의한 환자의 위험, 영상의 방해를 줄 수 있기에 제거합니다.
다만 고관절을 촬영하다보니 속옷을 벗고 촬영하진 않은것 같기에 현재 판독 결과를 확인해보시고 전문의에게 영상 촬영에 방해가 있었는지 꼭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