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확인서 이직일자 기준은 무엇일까요?
최초 입사 시 고용보험 취득자였다가 고용보험 비적용 대상자로 전환되어 실제 고용보험 상실일과 이직일이 다른 분이 계신데요.이런 경우 이직확인서 접수 시 상실일자는 실제 상실된 일자 +1, 이직일은 아래 ★작성예시1 실제 퇴사한 날짜로 작성해야 하는 걸까요? 아니면 아래 ★작성예시2 고용보험 가입 관계가 적용되는 2022.03.31일까지의 일자가 맞는걸까요?ㅜㅜ
ex. 2021.02.01 입사 (고용보험 취득) → 2022.04.01 (고용보험 비적용 / 상실) → 2022.07.31 (실제 퇴사일)
[이직확인서 작성 시] ★작성예시1
- 자격상실일 : 2022.04.01
- 이직일자(근로제공마지막날) : 2022.07.31
- 피보험단위기간(181일) 2022.02.01 ~ 2022.07.31
- 평균임금 산정 명세 : 2022.05.01 ~ 2022.07.31 (92일)
[이직확인서 작성 시] ★작성예시2
- 자격상실일 : 2022.04.01
- 이직일자(근로제공마지막날) : 2022.03.31
- 피보험단위기간(182일) 2021.10.01 ~ 2022.03.31
- 평균임금 산정 명세 : 2022.01.01 ~ 2022.03.31 (90일)
이직일자에 "근로제공마지막날" 이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실제로 근로제공마지막날은 퇴사일(★작성예시1)로 봐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해서요..
고용보험 세법에 근거하여 정확한 기준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이직일은 마지막 근로일을 말하며, 자격상실일은 퇴사일 즉, 마지막 근로일의 다음 날을 말합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