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환율이 왜 오르는거 같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미국 금리가 떨어지면서 미준금리와의 격차가 더 줄어들었는데요. 근데 환율은 슬금슬금 오르는거 같은데요. 왜 이러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 움직임이 꼭 금리만 보고 따라가진 않더라고 합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보통 원화 강세로 가는 게 맞는데 요즘은 달러 수요가 여전히 많습니다. 글로벌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을 피하려는 흐름이 섞여 있다는 얘기도 합니다.수출기업들이 달러 결제 대비로 환전을 덜 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 외국인 자금 유입이 기대만큼 늘지 않으면서 환율이 쉽게 안 내려가는 분위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내렸지만, 시장의 기대만큼 빠르게, 그리고 큰 폭으로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 않았다는 신호를 계속 보내고 있으며, 이는 달러의 매력을 유지하는 요인이 됩니다. 미국의 고용률이나 경제 성장률이 예상보다 좋게 나오면, 연준이 굳이 금리를 급하게 내릴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확산됩니다. 이는 달러 강세를 지지하는 근본적인 힘이 됩니다. 국내 주식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을 팔고 달러로 바꿔 나가려는 수요가 늘어나면 외환시장에서 달러 공급이 줄어들어 환율이 상승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환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미국과 협정한 3,500억 달러로 인해서
현재 환율이 오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의 환율이 오르는 것은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였기 때문입니다. 달러의 가치는 그대로이지만, 원화의 가치가 떨어진다면 이는 환율이 오르는 것과 같지요. 원화가 떨어지는 이유는 민생회복지원금과 같은 다양한 복지를 위해 원화를 많이 뿌리는 것이 근거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내용의 경우 점차적으로 환율이 오를 수 있어 위험성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와의 격차만으로 환율이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무역수지 적자, 외국인 자금 유출, 지정학적 리스크 등도 환율상승 요인이 됩니다. 최근 환율이 오르는 것은 복합적인 경제 불안 심리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 유동성공급, 스테이블코인을 주축으로 한 달러기축체제 공고화로 인해 달러를 제외한 대부분의 화폐가치가 하락중이라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한국이 대미투자를 3500억이상 한것부터가 근본적으로 환율상승요인입니다 그 이전에도 한국은 대미투자에서 전세계 글로벌 1위기업이었고 이는 한국에서 달러를 사서 미국으로 투자를 집행해야하고 이는 국내의 달러유출로 발생되고 달러를 사야되는 입장이기 때문입니다
거기다가 한국과 미국의 시장금리차이는 더 벌어지고 있고 최근엔 한국과 미국의 투자로 인한 불확실성과 국내 기업이 수출로 벌어들이는 달러자본을 국내로 유입시키지않으면서 원화대비 달러환율이 올라가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