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3.11.09

경기후퇴형 흑자는 어떤 흑자를 말하는 건가요?

경제 기사에서 경기후퇴형 흑자라는 경제용어가 나오던데 경기후퇴형 흑자라는 건 어떤 경제상태를 말하는 건가요?

흑자라면 경기가 좋다는 의미가 들어가 있을 건데

경기후퇴형 흑자는 어떤 상황을 설명하는 건가요?


경기후퇴형 흑자라는 경제용어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형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나 기업 가계 모든 대상에서 사용할수 있으며, 의미적으로 다르지 않으니,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기업의 예로 설명드리겠습니다.

    ex)

    2021년 매출 1조 , 영업이익 1천억

    2022년 매출 1.3조, 영업이익 -500억 = 적자전환

    2023년 매출 500억, 영업이익 100억 = 흑자전환

    2023년 영업이익은 100억으로 단순 수치상으로 보면 흑자경영입니다.

    2022년대비 영업이익 역시 증가하였고요.

    하지만 매출은 전년대비 대폭 하락했습니다.

    보통 전년도의 재고판매, 자산정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구조입니다.

    수치상으론 양의값을 가지고 있지만 전체규모가 줄어드는 현상을 경기후퇴, 불황형 흑자라고 칭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후퇴형 흑자는 불황형 흑자라고 불리며, 불경기 상황에서 수출 감소보다 수입 감소가 더 심해져 수출 결과가 더 좋아 보이는 수치상의 착시 효과를 의미합니다.

    수출입 결과상 흑자를 기록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후퇴형흑자는 불황혁흑자라고도 하며

    불경기에서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감소하여 수치상 무역수지가 흑자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래 수입과 수출이 늘면서 수출이 더 늘어야 흑자무역으로 경기가 좋다는 신호입니다. 하지만 수입과 수출이 줄어들면서 수출이 조금 더 높은 것을 경기후퇴형 흑자. 즉 불황형흑자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불경기에서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감소하여 수치상 무역수지가 흑자로 나타나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