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135만호 2030년까지 공급이 가능한가요?
정부의 부동산 대책을 보면 수도권에 135만호를 2030년까지 공급한다는데 가능한가요? 제가 보니 아직 왕숙. 진접등 신도시들이 시작도 못한곳이나 택지조성도 미진한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정부에서 5년간 135만호의 주택을 공급하는 공급대책을 발표했으나 서울 등 수도권의 집값은 오히려 상승폭이 커지며 반등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결국 정부의 정책에 대해 신뢰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인데, 그동안 여러정부를 거치며 주택 공급대책이 나왔지만 발표처럼 현실적으로 만족감을 느낄 정도의 공급이 이루어졌던 적이 없었으며, 더구나 가장 사람들이 필요로하는 서울이나 수도권 인기지역에서의 공급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보니 이러한 반응이 나오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단계적으로 가능성 있습니다
착공 목표 지정, 공공택지 확보, 규제 완화, 절차 단축 등이 제대로 작동하면 135만호 중 상당수를 채울 가능성은 높습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완전히 이행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 착공이 지연되거나, 인허가 과정·보상·기반시설 구축 지연됨에 따라 목표보다 물량이 적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착공과 준공/입주 사이에는 시차가 있으므로, 국민들이 체감하는 살 수 있는 집 공급은 착공 수치만으로는 아직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정부에서 밝혔지만 현실적으로 입주까지는 많은 기간이 필요한 사업이고 새로운 대안이 되지 않다고 할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시간을 가지고 기다려 보는 방법 밖에 없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아직 왕숙, 진접 등 신도시들은 택지 조성 및 착공 초기 단계이거나 사업 진행 속도가 더딘 부분도 있어 단기간 내 계획대로 공급을 모두 실현하기에는 일정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실제 공급 속도가 계획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을 지적하는데 개인적으로 2030년까지 135만 호를 짓는 것은 어렵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 135만 호 공급은 계획상 가능하다고 발표되었지만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습니다. 신도시 사업 지연, 인허가 절차, 건설사 공급 여력 부족 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실가능성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분분하나, 어느정도 수준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공급의 기준이 완공이 아닌 착공을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행정절차의 통합,신속화를 통해 기존 신도시 사업부지에 대해서는 진행을 빠르게 할수 있고, 이전과 다르게 LH의 역할 변화를 눈에 띄기 때문입니다. 결국에는 공기업인 LH가 직접 주택건설을 주도함으로써 공급속도를 상향할수 잇는데, 이전처럼 시공.시행사간 갈등이나, 조합원들간의 갈등에 따른 착공후 지연요소는 어느정도 감소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비공공화 주택건설의 경우 용적률 상향과 비주택용지 전용등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사업성을 높여줄수 있기에 이전과는 다른 속도감이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은 됩니다, 물론 2030년 까지 135만호 모두 가능하냐를 물어본다면 일부 부족한 부분은 있을수 있다 판단이 되지만 이전과는 다르게 빠른 공급과 진행은 확실하게 나타나지 않을까 기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