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시뻘건앵무새111
시뻘건앵무새111

아이들과 병원놀이 하면서 왜 부모는 환자 일까요?

아이들과 병원놀이를 자주 하게 되는데요.

왜 항상 아빠는 환자 역할을 할까요?

엄마는 간호사도 의사도 역할을 하는데..

항상 아빠는 환자 역할을 도맡아 하네요.ㅋㅋㅋ

아빠들의 심리가 멀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환자가 의사 간호사에 비해서 좀 수월해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상대적으로 환자는

    의사나 간호사가 시키는대로만 하면 됩니다.

    그래서 병원놀이를 할 때

    아빠들이 환자 역할을 도맡아서 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병원놀이에서 아빠가 환자 역할을 자주 맡는 이유는 아무래도 아이들이 놀이를 하면서 아빠가 환자 역할을 맡으면 상황이 더 유머러스해질 수 있어요. 아빠가 다소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환자 역할을 하면 아이들이 즐거워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부모를 관찰하면서 역할 놀이를 하곤 합니다. 아빠가 환자 역할을 자주 맡으면, 아이들이 그 모습을 모방하며 역할 놀이를 통해 다양한 상황을 배워가는 것일 수 있습니다.

    보통 아빠가 환자 역할을 맡으면 아이들이 의사나 간호사 역할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건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아빠가 환자 역할을 하면서 아이들이 주도권을 쥐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엄마가 간호사나 의사 역할을 자주 맡는 건 부모로서의 돌봄 역할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아빠는 그러한 역할에서 조금 물러나, 아이들이 더 많은 주도권을 갖게 되는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병원놀이는 아이들이 상상력을 키우고 사회적 기술을 배우는 좋은 기회입니다. 아빠가 환자 역할을 맡는 것은 그 놀이의 재미와 의미를 더하는 한 방식일 뿐입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는 역할극을 하면서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배우고 유대관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부모가 환자가 역할을 도맡아 하게 되는 이유는 아이를 케어하는 것이 정말 힘들고 고되잖아요.

    병원 놀이를 하면서 잠시 쉬어가는 시간이라 생각하고 잠시 눈을 붙이기 위한 시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 부모들이 병원 역할극을 하면 환자 역할을 자처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병원 놀이의 주체는 환자를 잘 치료 해주는 의사와 간호사 입니다

    역할극 놀이 이다 보니 가장 역할 비중이 낮은 환자 역할을 아빠가 하는 건 아닐까 생각 합니다

    그리고 환자 역할을 하면 아이들의 손길이 느껴져 기분이 좋아 지고 너무 귀엽다는 생각도 들기

    때문이 아닐까요

    아빠들은 귀찮아 하는 것이 많아서 가만히 누워있는 환자 역할을 하려고 하는 아빠도 많이 있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무슨 놀이를 하던지 역할 놀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자기가 주인공이 되고 나머지를 조연을 시켜준다고 합니다. 이는 아이들이 하는 모든 놀이는 처음이기 때문에 아이들에게는 이게 아주 재미있고 중요할 것 입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 그렇게 해주시는 경우가 많을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반대 입장도 경험을 하는게 좋기 때문에 아이들에게도 역할을 바꿔서 놀이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가정에서 정하기 나름이라 명확하게 이유가 무엇이라 말하긴 어려우나 비교적 간단하고 부담이 덜한 역할이라고 그런 것인 것 같다고 짐작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병원놀이에서 아빠에게 환자 역할을 맡기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 아이들은 아빠가 평소에 자신을 돌보거나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므로, 병원놀이에서는 아빠를 "도와줄" 수 있는 기회를 얻으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환자를 돌보는 활동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아빠를 돌보는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둘째, 병원놀이에서 아이들은 간호사나 의사 역할을 통해 돌봄과 치료의 힘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엄마는 가정 내에서 이미 돌봄을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아 자연스럽게 의사나 간호사 역할을 맡게 되고, 아빠는 환자 역할로 상황을 완성시키는 듯한 구도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병원놀이를 할때 아빠가 환자 역할을 자주 맡는 것은 우선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현실을 반영하는데 아빠가 환자 역할을 하면 아이들이 돌보는 역할으 ㄹ하며 책임감을 느끼고 즐거워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환자는 움직임이 적고 누워있을 수 있고 어떤 행동을 유도하더라도 "아파서 못해" 라 할 수 있으니 그러는게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아이와 병원놀이를 하면 요구사항이 많긴 하더라구요^^

  •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과 병원놀이를 자주 하게 되는데요.

    왜 항상 아빠는 환자 역할을 할까요?

    엄마는 간호사도 의사도 역할을 하는데..

    항상 아빠는 환자 역할을 도맡아 하네요.ㅋㅋㅋ

    아빠들의 심리가 멀까요?

    아빠가 환자역활을 하는것은 아이가 즐거워하고 미래에 의사가 되었으면 하는 심리적인 마음에서 하는 행동으로 보여집니다..

    모든 아빠들이 절대적으로 환자의 역할만 하지는 않겠지만

    환자의 역활을 하며 진지하게 의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자녀를 보며 뿌듯하고 그런 마음..자녀를 위한 작은 희생? 정도로 봐주시면 될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ㅋ

  • 병원 놀이를 할때 아이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주도적인 의사역할을 아이들이 맡아서 하게 되고

    부모님들은 환자 역할을 맡게 됩니다.

    그리고 간호사는 여자인 엄마가 맡게 되는 거죠.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병원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의료환경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병원에 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부모가 환로 등장해 아이들은 실제상황을 가상으로 경험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는 아이의 생활에서 가장 가까운 존재로 아이들은 부모를 통해 다양한 감정을 배우고 모방합니다. 부모가 환자 역할을 하면서 아이는 간호사나 의사 역할을 맡아 보살피는 과정을 통해 책임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