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문학에서 고전시가는 왜 현대말과 차이가 있나요?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고전시가는 현대인들의 언어와는 많은 차이가 있잖아요. 이해하기도 어렵던데 고전시가의 단어는 누가 어떤 방식으로 만든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언어에는 자의성, 역사성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자의성은 글자의 형태(form)'와 '뜻(content)'이 본질적으로는 관련이 없다 는 뜻이고
역사성은 언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 변화, 소멸하는 특징이 있다는 뜻이죠
누가 일부러 그렇게 만든게 아니라
현재 우리가 배우는 언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변한 언어고
고전시가는 변하기 전의 언어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언어라 당연히 읽기 힘든 것이에요
이런건 십년 백년 걸리는 일도 아닙니다
지금 당장 IT나 공사 계열 전문 서적을 보시거나
한번도 가본 적 없는 커뮤니티 사이트에 가보시면
한글로 적혀있는게 분명한데 아무것도 못알아 볼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있는 사회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언어를 쓰기 떄문이죠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언어의 역사성 때문입니다. 언어는 생성 변화 소멸하기때문에 시대마다 언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