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이차전지 산업 전망이 어떨까요?
신설학과도 많이 생겼는데 디스플레이처럼 사장된 산업이 될까 걱정돼요
최근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가 이차전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며, 이러한 추세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전기차 둔화로 이차전지 산업은 2025년까지 속도 조절 국면이 맞습니다. 다만 2026년 전후부터 유럽 CO2 규제 강화, 저가 EV 확대, ESS 급성장과 함께 성장축이 재부상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 배터리는 단기 마진·가동률 부담을 받되, 북미·유럽 현지화·ESS·재활용과 소재 내재화에 성공하면 중장기 성장이 유효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이차전지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성장해왔는데요, 하지만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는 이차전지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기준,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의 점유율이 16.6%로 작년 대비 5.4%포인트 하락했는데요, 이는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의 수익성 악화와 가동률 저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 소재인 니켈, 코발트, 망간의 가격 변동성과 공급망 불안정성도 기업들의 경영에 부담을 주고 있는데요 특히, 중국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차전지 산업의 중장기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인데요 SNE리서치에 따르면, 2035년까지 전 세계 이차전지 수요는 현재의 5.6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가 전체의 85%를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