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행운의담비288
행운의담비28823.09.07

전세보증금 관련 보험에 대해 궁금하네요

전세보증금을 나중에 잘 돌려받기 위해서

보험을 들으라고 많이 하던데요.

현 전셋집 등기가 담보 없기도 하고

보험료도 꽤 비싸서요

반드시 보험 들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험은 언제나 만약을 대비하는 겁니다.

    거주기간동안 정신적인 평온을 위해서는 들어두시는 것이 좋고 그게 아니고 너무 비싸다고 생각하신다면 걱정은 되어도 참는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집값이 하락하는 시기에는 보증보험을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등기부가 깨끗하더라도 계약종료 시점에 임대인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래의 일은 아무도 알 수 없기에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기위해서 보증보험에 가입을 합니다. 보증보험 가입은 임차인의 선택사항이고 잘 생각해보고 결정하기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근저당이 없다고 해도 임대인이 만기일에 보증금을 잘 반환할지는 정확히 판단할수 없습니다, 임차인 입장에서는 보증금 미반환시 임대인을 상대로 법적 소송 및 반환절차를 진행하는게 시간적, 정신적 소모가 있을 수 밖에 없기에 되도록 빠른 보증금 회수를 위해서는 보증보허에 가입하는게 유리할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목적물에 대출이 없다고해서 보증금이 안전하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요즘같은 시기에는 전세보증보험이 필수중에 필수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반드시 가입하여야 하는 보험은 아닙니다.

    다만 담보가 없더라도 시세 대비 전세가율이 높은 경우 추후

    집값이 속절없이 떨어져 깡통전세가 될 경우가 혹시라도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안전책이라고 생각하실수 있겠습니다.

    또한 임대인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신용불량자가 될수도 있고, 악의적으로 작정하고 사기를 치는 경우에 대한 대비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