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품은 전염되는게 맞는지 궁금하네요?
하품은 전염되는게 맞는지 궁금해요. EBS 실험같은데서 많이 봤는데요. 하품이 전염이 된다고요. 그러면 옆사람이 하품을 하는데 따라 안하는 사람이면 이상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하품을 보는 것만으로 하품을 따라할 확률은 연구에 따르면 약 40~60%입니다. 하품 전염은 5세 이하 어린아이에게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 이는 공감능력 발달과 연관이 있다고 추정됩니다.
하품 전염의 몇 가지 가설은 공감 능력, 사회적 연결성, 신경학적 반응 등입니다. 공감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하품 전염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특히 가족, 친구처럼 가까운사람 일수록 따라 할 가능성이 높다 합니다. 뇌의 거울 신경세포도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는 데 관여하는데, 하품을 보는 것만으로 이 신경세포가 활성화되어 하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품에 반응하지 않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하품을 하는 사람에게 집중하지 않았거나 다른 일에 몰두한 경우 등에는 하품 전염 반응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 반응하지 않았다고 해서 공감능력이 결여된 사람인 것은 아닙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따라 안한다고 해서 이상하진 않습니다. 하품을 하면 옆 사람이 그걸 보고 같이 하품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거지 무조건 해야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몇가지 이론이 있습니다. 산소 부족떄문에 하품을 한다는것부터 사회적 하품 또는 공감능력 담당하는 뉴런의 활성화로 하품을 한다고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하품이 전염되는건 실제로 과학적으로 입증된 현상이에요. 우리 뇌에는 거울뉴런이라는게 있어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면 무의식적으로 따라하게 되는데, 하품도 이런 현상 중 하나예요. 재미있는건 이런 반응이 공감능력이랑도 연관이 있다는 건데, 그렇다고 하품을 따라하지 않는 사람이 공감능력이 부족하다는 뜻은 절대 아니에요. 사람마다 반응하는 정도가 다르고 그날의 컨디션이나 피로도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거든요.
안녕하세요. 김민성 의사입니다.
네, 하품은 전염될 수 있습니다. 하품이 다른 사람을 보고 나거나, 심리적으로 공감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하품은 다른 사람의 하품을 보고 무의식적으로 따라 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공감 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다른 사람이 하품을 할 때 우리도 하품을 하는 것은 감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품은
보통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가 깊은 사람들에게 더 전염되는 경향
이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공감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하품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하품은 전염되는 거라기 보다는 같은 공간에 있는 사람들이 연달아 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한공간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하품이 나오기 때문에 전염되는 것처럼 보일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