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수송 경로 중 심플라스트 경로와 아포 플라스트 경로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식물의 수송 경로 중 세포질을 통한 심플라스트 경로와 세포벽의 공간을 통한 아포 플라스트 경로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가장 큰 차이는 물질이 이동하는 세포 구조물에 차이입니다.
심플라스트 경로는 물과 용질이 살아있는 세포질을 통해 이동합니다.
세포들이 원형질 연락사라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어, 물질이 한 번만 세포막을 통과하면 이후에는 세포질에서 세포질로 직접 이동하게 되죠. 이 경로는 물질의 이동 속도가 느리지만, 세포막을 통해 물질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반면 아포플라스트 경로는 물과 용질이 죽은 세포벽과 세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합니다.
이 경로는 세포막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그러나 뿌리 내피의 카스파리대에 의해 차단되므로, 물과 용질은 심플라스트 경로로 전환되어야만 물관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심플라스트는 세포질을, 아포플라스트는 세포벽을 통해 이동하며, 이 두 경로는 물질의 선택적 흡수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심플라스트 경로는 원형질연락사를 통해 살아있는 세포의 세포질을 연결하여 물과 양분이 이동하는 경로이며, 아포플라스트 경로는 세포벽과 세포 사이의 공간처럼 살아있지 않은 부분을 통해 이동하는 경로입니다. 심플라스트 경로는 세포막을 통과하기 때문에 물질의 이동 속도가 느리고 선택적인 수송이 가능하지만, 아포플라스트 경로는 상대적으로 저항이 적어 이동 속도가 빠릅니다. 그러나 아포플라스트 경로는 내피세포의 카스파리대에 의해 막혀 있어, 결국 내피세포에서는 심플라스트 경로를 통해 물질이 이동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식물 뿌리에서 물과 무기 이온이 흡수된 뒤 체내로 이동하는 과정에는 크게 심플라스트 경로와 아포플라스트 경로라는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우선 심플라스트 경로란 세포질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인접한 세포들이 원형질연락사로 연결되어 있어 물이 세포질에서 세포질로 확산되는 방식입니다. 세포막을 한 번 통과해야 하므로 선택적 투과성이 작용하며 물뿐만 아니라 이온이나 작은 용질도 세포막 조절을 받으며 이동 가능하고 이때 에너지 소모는 없고, 주로 확산으로 이루어집니다.
다음으로 아포플라스트 경로란 세포벽과 세포 간극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인데요, 세포벽은 다공성 구조이므로 물이 세포질을 거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 가능합니다. 이때 세포막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빠르고 대량의 이동이 가능하지만 선택적 조절이 불가능하고, 단순히 농도 기울기와 물리적 힘에 의존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