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경우 씻을 때 귀에 물이 들어가는건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곤 하는데 반려동물들은 아닌거같더라구요 왜 그런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사람의 경우 씻는 과정에서 귀에 물이 들어가는건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곤 하는데요
반려동물들 같은경우에는 아닌거 같더라구요.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아님 잘못알려진 사실인지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사람의 귀는 상대적으로 직선적이고, 귀지가 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물이 들어가도 쉽게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반면, 반려동물의 귀는 더 긴 통로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고양이와 개의 귀는 구부러진 구조 때문에 물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들은 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매우 불편하게 느낄 수 있으며, 귀에 물이 차면 염증이나 감염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반려동물은 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싫어하고,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사람과 반려동물, 특히 개나 고양이의 귓속 구조는 다릅니다.
사람은 귀지샘이 외부에 위치하여 귀지가 귓바퀴 쪽으로 나오는 구조입니다. 귓구멍이 짧고 곧게 뻗어있어 물이 들어가도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동물들은 귀지샘이 깊숙이 위치하여 귀지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귓바퀴가 길고 귓구멍이 ㄱ자 모양으로 꺾여 있어 물이 들어가면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고 고여 있기 쉽습니다.
결국 반려동물의 귀에 물이 고이면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죠.
특히 따뜻하고 습한 환경은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으로 세균 감염으로 인해 외이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곰팡의가 생길 수 도 있고 이미 귓병이 있는 상태에서 물이 들어가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중이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즉, 사람과 달리 반려동물의 귀에 물이 들어가면 귓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잘못 알려진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사람이나 반려동물이나 귀에 물이 오래 저류하는 것은 좋지 못합니다. 다만, 사람의 경우 귀에 물이 들어갈 경우 스스로 인지해 물을 빼려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주변에 불편한 점을 쉽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류로 인한 문제가 쉽게 나타나지 않는 편입니다.
반려동물의 귀는 외이가 길고 중이가 짧습니다. 사람의 경우는 외이가 짧고 중이가 긴 편입니다. 외이는 귓길의 대부분으로, 직접 청력과 관련되있지는 않습니다. 이 때문에 반려동물의 귓병은 주로 피부질환처럼 가려움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외이가 긴 데다가, 중이로 가는 길이 꺾여있어 사람처럼 귀에 물이 저류하더라도 청력에 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반면 사람의 경우는 외이가 짧아 조금만 물이 들어가도 바로 불편감과 이물감을 호소하게 되며, 이 문제가 제대로 해소되지 않는다면 중이염으로 이환되어 고막에 염증이 날 수 있고, 이는 청력에 문제가 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반려동물을 씻길 때 귀에 물이 들어가면 큰 일이 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왁스라고도 하는 귀지가 귀를 보호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단순히 귀에 물이 들어가는 것만으로는 절대 귀를 아프게 할 수가 없습니다. 귀지는 기름과 같이 귀안에 들어온 물을 다 튕겨내 버리기 때문에 아무리 귀에 물이 많이 들어가도 한 두번 털어내면 귀안에는 물 한 방울 남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오해를 불러 일으킨 원인은 강아지를 목욕시킬 때 샴푸를 사용하는데 샴푸는 계면활성제이므로 귀지를 녹여 귀지가 물을 튕겨내는 작용을 못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귀는 귀 안에 들어온 물을 예전처럼 튕겨져 내지 못하고 오히려 귀안에 머물게 하며 귀 안에 머문 물은 귀의 습도를 올려 귀 안에 원래 아주 약간 서식하고 있는 세균과 곰팡이(효모)균의 성장을 촉진해 염증을 일으키게 합니다. 하지만 귓병을 예방하려면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이 아니라 목욕을 하면서 들어간 샴푸를 제대로 헹구어 낸 뒤 귀전용 세정제를 사용해 추가적인 소독을 해주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강아지의 경우 답은 귀 구조에 있습니다. 강아지는 사람과 다르게 수직이도와 수평이도로 구성되어 있어 귀가 'ㄴ'자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들어가면, 쉽게 마르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사람과 달리 반려동물의 귀는 구조상 물이 들어가면 불편하거나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의 귀는 사람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물이 고이기 쉬워 감염 위험이 커집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당.
반려동물들이 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싫어하는 이유는 구조와 감각 차이 때문입니다. 사람의 귀는 비교적 곧고 짧은 외이도를 가지고 있어 물이 들어가도 쉽게 배출될 수 있지만, 반려동물, 특히 개와 고양이의 경우 귀가 깊고 L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어 물이 들어가면 배출이 어렵고 염증이나 감염의 위험이 큽니다. 이 때문에 반려동물들은 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불편해하고 싫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잘못된 사실이 아니며, 실제로 반려동물의 귀 건강을 위해 목욕 시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