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먹으면 얼굴이 빨개지는편입니다 속설로 알콜성분이 없어서 술이 안받는거라고 하던데요
술을 먹으면 얼굴이 빨개지는편입니다 속설로 알콜성분이 없어서 술이 안받는거라고 하던데요 그게 사실인가요? 얼굴빛으로ㅡ그걸 판단할수있는건가요?
음주를 한 이후에 쉽게 얼굴이 붉어지는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가 적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가 흔히 일어나는 것이 맞습니다. 보통 술을 먹으면 얼굴이 붉어지는 편이라면 소위 술을 잘 받지 않는 체질이기 때문이 맞습니다.
술을 마셨을 때 피부가 발각해 되는 이유는 일종의 알레르기 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몸에서 알코올을 흡수하게 되면 알코올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알데히드라는 물질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 알데히드는 독성을 띠고 있습니다. 간에서 효소가 분해되어 이 알데히드를 효과적으로 분해하지 못하면 몸의 독성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몸에 빨갛게 될 수 있습니다.
술을 마신 후 얼굴이 빨개지는 것을 '홍조'라고 하는데, 이는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의 유전적 결핍과 관련이 있습니다.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가 혈관을 확장시켜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을 유발합니다. 이는 음주 후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들이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얼굴이 빨개진다고 해서 반드시 알코올 분해 능력이 떨어진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개인마다 알코올에 대한 반응이 다르고, 체질이나 건강 상태에 따라서도 얼굴이 빨개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얼굴빛만으로 알코올 분해 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술을 조금만 마셔도 금방 얼굴이 붉어지는 사람들은 술의 알코올을 분해할 효소가 적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술이 잘 받지 않는 사람이니 음주는 자제하시는 것이 건강에 이롭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알콜이 몸안에 들어오면 간에서 대사하고 해독하게 됩니다 그러나 선천적으로 간에서 알콜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하면 해독시간이 오래걸리게 됩니다 얼굴이 붉어지는것도 해독지연의 반응중 하나입니다
네 판단할 수 있습니다.
알코올은 우리몸에 들어오면 아세트 알데하이드로 분해되는데 이게 1급발암물질이고 간에 해독효소가 많은 경우에는 바로바로 다음 물질로 해독을 해버리는데 이 효소가 없는 경우에 아세트 알데하이드 농도가 높아지게 되며 이 물질을 어떻게든 몸 밖으로 배출하려고 안간힘을 쓰게 됩니다.
그래서 소변을 보면 술냄새가 많이 나게되며 땀으로도 배출하게 되고 피부로 배출하려고 혈관이 확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얼굴이 빨게지게됩니다.
이런 사람들은 얼굴이 빨게지지 않는 사람들보다 소량의 음주에도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금주하시는게 적절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음주 시 부산물로 체내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만들어지는데 이를 분해하는 효소가 체내에서 적게 만들어 질 시에 얼굴이 빨리 붉어지는 경향성이 생깁니다. 술이 안 받는다기보다는 분해 효소가 적어서 술에 약한 편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