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4.04.10

정약용에 대한 업적은 어떻게 되는지?

안녕하세요 다산 정약용 선생님은 조선시대후기의 인물인데요 이 분의 업적은 어떻게 되는것인지 아시는분 설명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약용(1762-1836)의 조선의 유학자이자 실학자입니다. 그는 어려서 부터 성호 이익의 학문을 접하며 개혁 사상을 받아들였습니다. 그의 실학 사상은 경세치용에 관심을 갖고 여전제와 정전제를 바탕으로 한 토지 개혁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과학자로서의 면모도 보여 보였습니다. 그는 배다리 건설과 수원화성 축조의 효율성을 위해 거중기를 고안했으며, 천연두 치료에 관심이 있어 <마과회통>을 저술하였습니다.

    그는 다양한 분야에서 실학을 통합하였습니다. <경세유표>, <흠흠신서>, <목민민서> 등을 저술하여 정치, 경제, 사회 개혁을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천주교에 관심을 가졌으며, 그로 인해 장기간 유배 생활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약용은 다산 정약용이라는 필명으로 200여 편의 책을 남겼습니다. 저서에는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이 있으며, 이 책들은 실학 사상의 집대성이라고 평가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약용은 『경세유표』, 『흠흠신서』, 『목민심서』 등

    모두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고, 이 저술을 통해서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것이 주요 업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역용의 업적이라고 하면 수원화성의 건립인데 서양식 축성법과 기중가설을 활용하여 견고하고 아름다운 성을 만들었습니다.토지제도 개혁안의 마련해서 토지의 공정한 분배와 농민의 권리를 보장하려는 제도였습니다.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의 저작. 성리학을 비판하고 실용적인 학문을 주창하였고 배다리의 건설을 통해 배를 띄워 다리를 만드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교통을 편리하게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