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피를 수혈 못받는 이유
우리 몸안에 있는 피는 혈액형이 있어 혈액형이 맞지 않으면 수혈을 받을수가 없는데 만약 수혈을 받으면 어떤 몸에서 어떤 증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o형의 피는 다른 혈액형의 사람에게 수혈이 가능합니다. 적혈구에 항원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혈액형끼리 만나면 항원 항체 반응으로 적혈구가 대 깨어져 버리게 됩니다
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피를 받게 되면 (O형 제외. O형 피는 누구나 다 받을수있습니다) 내 몸 면역체계가 반응하여 서로 다른 항원과 항체 응집 반응으로 인해 피가 굳어버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혈액형이 맞지 않는 수혈을 받으면 면역 반응이 일어나 용혈되면서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급격한 발열과 오한, 심한 허리 통증, 두통, 메스꺼움과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액 내 적혈구가 파괴되어 빌리루빈이 과도하게 방출되면서 황달, 어두운 소변, 혈압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에는 급성 용혈성 수혈 반응으로 진행하여 신부전, 호흡 곤란, 쇼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수혈 전 혈액형 검사는 매우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항원과 항체가 있기 때문에 둘이 만나면서 응고를 일으켜 사망에 이를수도 있습니다.
서로 다른사람의 피를 외부의 것으로 인식해서 방어 작용을 합니다.
적합하지 않은 혈액이 들어오면 우리 몸은 이를 이물질로 인식하고 항체를 만들어 공격하게 됩니다. 받아들인 적혈구가 응집되고 파괴되면서 용혈성 수혈 반응이 일어나는 거죠. 경한 경우 오한, 발열,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심하면 혈색소뇨, 급성 신부전, 파종성 혈관내 응고 등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혈 사고는 혈액형 불일치 외에도 혈액 보관 상태 불량, 감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해요. 수혈 전에는 반드시 혈액형 검사를 시행하고, 수혈 중에도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지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증상이 의심된다면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적절한 처치를 해야 하죠.
건강한 사람은 평생 수혈이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평소 건강 관리를 잘 하시고, 수혈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검증된 의료기관에서 안전하게 받으시길 바랄게요.
혈액형이 맞지 않는 혈액이 몸속에 들어오게 되면 우리 혈액 속에 있는 항체가 새로 들어온 적혈구를 외부 침투 물질로 인식해서 공격을 해서 적혈구 표면에 달라 붙게 되며 이어서 주변에 있는 혈소판과 혈액 응고 인자가 활성화 되어서 응집반응이 일어 납니다. 피부에 상처가 났을때 혈액이 응겨 붙는 것과 같은 현상이 혈관 내부에서 일어나므로 혈관이 막혀 버리게 되어서 피가 안돌아서 매우 빨리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즉, 혈액응고가 일어납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혈액형이 다르면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수혈된 혈액과 수혈받는 사람의 항원이 반응하면 혈소판 파괴, 빈혈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혈액형이 맞지 않는 사람의 피를 수혈받으면, 수혈받는 사람의 면역 체계가 이식된 혈액을 이물질로 인식하여 공격하는 심각한 면역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는 주로 두 가지 이유 때문인데, 첫째는 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A, B 항원) 때문이고, 둘째는 혈장에 있는 항체 때문입니다. 각 혈액형은 특정 항원과 항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간의 부적절한 조합이 치명적인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형 혈액을 가진 사람은 적혈구 표면에 A 항원을 가지고 있으며, 혈장에는 B 항체가 있습니다. 만약 이 사람이 B형 혈액을 수혈받게 되면, B형 혈액의 B 항원과 A형 혈액의 B 항체가 반응하여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반응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용혈반응은 급성 용혈성 수혈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매우 위험한 상태입니다.
급성 용혈성 수혈 반응의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혈압 강하, 호흡 곤란, 메스꺼움, 구토, 복통, 요통, 소변의 혈액 혼입 등이 있습니다. 이 반응은 신장 손상, 급성 신부전,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수혈을 할 때는 반드시 혈액형을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Rh 인자에 대한 고려도 필요합니다. Rh 음성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Rh 양성 혈액형의 피를 수혈받을 수 없으며, 반대의 경우는 가능하지만 반복적으로 Rh 양성 혈액을 수혈받게 되면 항체가 형성되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혈액형에는 ABO 혈액형과 Rh 혈액형이 있습니다. 혈액형에 따라서 수혈이 가능한 경우가 있고 가능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데 이는 혈액형에 따라서 다른 혈액형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A형의 경우에는 A형 항원과 B형 혈액에 대항 항체를 가지고 있고, B형의 경우에는 반대로 B형 항원과 A형 혈액형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AB형은 두 종류에 대한 항원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항체는 없으며. O형은 항원은 없지만 항체를 둘 다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O형의 혈액형은 항원이 없어 A, B, AB형이 모두 수혈 받아도 항원-항체 반응 없이 수혈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AB형 혈액형의 경우 두 항원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체가 없는 AB형 외에는 수혈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Rh 혈액의 경우에는 RhD 양성인 사람은 항체를 만들지 않아 Rh- 환자의 혈액을 수혈 받을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수혈을 받아서는 안 되는 혈액을 수혈 받을 경우 급성 거부 반응에 의해서 발열, 발진부터 혈압 저하, 혈액 용혈 등 심각한 부작용이 생기며 조직 파괴 및 쇼크 등 문제에 의해서 사망까지도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부적절한 혈액형을 수혈받으면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용혈되면서 열이나고 혈압이 떨어지고 구역질이 날 수도 있고 알레르기반응이 일어날 수도 있고 폐에 손상을 받아 호흡곤란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건 치명적일 수 았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