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현상에서 낙인 효과는 왜 발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사회 현상 중에는 한번 나쁜 평가를 받은 사람이 그 평가에서 벗어나기 어려워 지고 계속해서 부정적인 행동하는 하게 되는 낙인 효과라는 개념이 있는데요 이 낙인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낙인효과는 특정 행동이나 과거 경력으로 인해 부정적 낙인이 찍힌 개인이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받으며, 이로 인해 실제 능력이나 성향이 위축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미국의 사회학자 하워드 S. 베커의 낙인이론에서 유래했으며, 1차 낙인(사회적 낙인)이 2차 낙인(개인적 자기 인식)으로 이어져 일탈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낙인효과는 Positive한 것도 있고, Negative한 것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성공경험 같은 경우는 성공한 사람에 대해 그 사람의 낙인은 '성공'이라는 이미지 입니다. 따라서 다른 분야에 도전하거나 의견을 내어도 긍정적인 기대를 가져옵니다.
나머지는 대부분 부정적인 기대의 것입니다.
전과자, 정신질환자와 같은 사회적 특정 집단에 대한 낙인이 각 개인의 정체성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성공경험의 반대인 경제적인 부도 등의 경험에 의해 낙인이 찍히면 시장 신뢰 회복이 더뎌져 재기하기 어려워 질 수도 있습니다.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간관계에 있어서 '이 사람은 이런 사람이다'라는 낙인이 찍히고 그것이 자신도 인정하여 강력한 자기 선언으로 공고히 되면 편협한 인간관계나 고립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편견을 인식하고 그것을 반대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현재 각인된 편견이 존재하는 인간관계 외에 새로운 인간관계를 통해 선입견을 줄이는 방안도 필요합니다. 근본적으로 이러한 선입견을 없애기 위해 상대방과의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오해나 편견을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이것은 문학이 아니라 심리/법률/철학 쪽에 물어봐야할 질문인 듯 합니다
일단 아는대로 설명 드리자면
첫인상으로 생긴 이미지는 의식적으로 노력하지 않는 이상 고치기 힘듭니다
그리고 전과가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첫인상이 좋지 않겠죠
아무리 착하게 살고 싶어도 사소한 실수 하나하나에 "역시 전과자"라는 말이 따라 붙는데
그런 보답이 없는 행동을 계속 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것이 낙인 효과의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낙인효과는 사호에서 한 번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사람이 그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계속해서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사람들은 한 번 형성된 이미지를 쉽게 바꾸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누군가를 부정적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 그 사람이 이후에 긍정적인 행동을 하더라도 잘 인정하지 않고 여전히 나쁜 쪽으로만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낙인을 받은 당사자의 심리적 변화입니다. 계속된 편견과 차별 속에서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어려워지고 결국 사회가 바라보는 시선에 맞춰 부정적인 행동을 반복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전과자가 '범죄자'라는 낙인 때문에 취업이나 사회적 관계에서 배제되면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어려워 다시 범죄로 내몰리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따라서 낙인 효과는 사회적 편견과 개인의 자기 인식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사회시스템이 평등이나 차별금지 등의 원칙을 지키지 않고 제도적 편의만 추구한 결과라고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범죄자가 출소를 하면 이미 판사의 판결에 위하여 충분한 죄값을 치루었으므로 호혜적 평등에 입각하여 대우를 해주어야하는데 오히려 혹시라도 일어날 재범우려를 편의적으로 방지하기위하여 각종 사회진출에 제약을 건다는 것입니다..
이는 출소자가 다시금 범죄의 길로 갈수 밖에없는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