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견실한홍학32
견실한홍학3223.03.03

용어 중에 CBM , LCL 이 무엇인가요??

무역용어 중에 상품의 크기? 단위? 에 대해 여러가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CBM, LCL 등이 어떻게 구분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LCL은 화물의 적재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FCL 과 비교하여 설명 드리면

    FCL은 수출입시 운송에 사용하는 컨테이너에 화주하나의 물품을 한 컨테이너를 꽉 채우고 다른 회사의 물건과 섞여서 들어가지 않은 상태이며 LCL은 한 화주의 물건이 한 컨테이너를 채우기는 부피가 적어 다른 회사의 물품과 함께 한 컨테이너안에 같이 적재를 한 상태를 말합니다.

    LCL은 컨테이너 1대에 채울만한 물량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FCL과 같이 컨테이너 Door운송의 과정이 필요 없이 Loose Cargo(일반화물) 상태로 트럭등을 사용 하여 운송하고 출항항 지정한 항구의 CFS로 운송됩니다.

    화주의 화물이 LCL인 경우 하주가 직접 일반차량(트럭)을 수배하여 주선인이 지정한 CY/CFS까지 운송하게 됩니다.

    CBM 이란 Cubic Meter 로 가로, 세로 , 높이 각 1meter 인 부피 단위를 말합니다. 용적단위로서 1입방미터를 말하는데 일부 중량화물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화물을 용적기주으로 운임을 부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운임산정단위가 CBM으로서 이를 1용적톤이라고 합니다.

    컨테이너 운송시 통상 LCL 화물인 경우 운임은 ICBM 기준으로 책정하며, FCL 화물은 컨테이너 1개당 운임으로서 TEU(Twenty Equivalent Unit) 또는 FEU(Fifty Equivalent Unit) 단위로 운임을 책정합니다.

    CBM은 발송물품의 최종 발송 포장 상태의 가로 세로 높이의 길이를 잰 후 가로 * 세로 * 높이 로 계산 합니다.

    여러 물류회사에서 운임 계산을 위해서 CBM 계산을 위한 계산식을 제공하고 있으니 활용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https://www.tradlinx.com/cbmcalculator

    https://www.forwarder.kr/curr/index.php?curr=cbm

    컨테이너 내부에 물품을 쌓을때 박스상태로 적재하여야 가장 효율적으로 최대 수량으로 적재할 수 있지만 실재 물품의 적재시에는 빈공간이 나올수 밖에 없게 됩니다. 그래서 20 FT 컨테이너에는 단순 계산상으로는 28 CBM 적재 할 수있는것 같으나 실제로는 27 CBM , 40 FT 컨테이너에는 단순 계산으로는 58 CBM 이나 실재로는 55 CBM 정도가 적재 가능하다고 합니다.

    참고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CBM과 LCL은 무역 운송 시 사용되는 컨테이너 관련 용어이며 아래와 같이 설명 드립니다.

    1. CBM

      CUBIC METER에 약자로 화물의 가로, 세로, 높이를 Meter로 환산하여 곱한 결과치입니다. 1CBM은 가로, 세로, 높이가 1M인 정육면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가로, 세로, 높이 1M씩을 더 쉽게 말씀드리면, 제품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략 200L 크기에 뚜껑형 김치냉장고와 비슷합니다. 그래서 컨테이너에 채웠을 때 양으로 안내해 드리면, 20피트 컨테이너(20피트 컨테이너 규격이 가로 5899 x 폭 2348 x 높이 2390) 기준 약 28 CBM 정도에 양이 적재가 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40피트 컨테이너는 약 55~58CBM)

    2. LCL

      수출입 시 화물을 운반할 때는 주로 컨테이너를 이용하게 됩니다. LCL 및 FCL이라는 용어는 컨테이너 선적의 두 가지 주요 모드 또는 운송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FCL(Full Container Load) 선적 또는 전체 컨테이너 선적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상품과 공유할 필요 없이 우리 상품만 넣는 것, 즉 컨테이너의 전체 공간을 차지하는 선적입니다. 반대로 문의하신 LCL(Less than Container Load/소량 화물)은 전체 컨테이너의 일부만 차지하는 선적을 말하며 동일한 컨테이너에 있는 다른 화주의 다른 상품과 함께 선적됩니다. FCL 및 LCL은 언어에 관계없이 국제 물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1. CBM

    CBM이란 Cubic Meter의 약자로서 가로, 세로, 높이가 각 1미터인 부피를 환산하는 단위입니다.

    가로, 세로, 높이가 각 1m 인것을 1CBM이라고 하며 중량으로 환산하면 1,000kg이 됩니다.


    예를 들어 박스 하나의 크기가 가로 40cm, 세로 50cm, 높이 100cm로서 총 20박스가 있는 경우,

    먼저 하나의 박스에 대한 CBM을 먼저 구한 후에 총 박스 수량을 곱해 총 박스에 대한 CBM을 구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CBM을 구하실 때에는 m 단위로 환산을 해서 계산하셔야 됩니다.

    1. 박스 1개 CBM = 0.4 m * 0.5m * 1m = 0.2 CBM

    2. 총 박스에 대한 CBM = 0.2 CBM * 20 BOX = 4 CBM

    2. LCL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의 약자로 전체 컨테이너의 일부만 차지하는 선적을 말하며, 동일한 컨테이너에 있는 다른 화주의 다른 상품과 함께 선적하여 FCL 화물을 만드는데, 이러한 작업을 콘솔(혼재, Consolidation) 작업이라고 합니다.

    LCL화물의 경우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에서 혼재(Consolidation)작업이 이뤄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문의주신 CBM, FCL, LCL 용어 관련하여 말씀드립니다.

    1. CBM

    CBM은 CuBic Meter의 약어를 의미하는데, CBM을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부피를 구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CBM(m3)

    가로(Length), 세로(Width), 높이(Height)를 Meter로 환산하여 곱한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가로 70cm, 세로 100cm, 높이 50cm가 있다면, 0.35CBM이 산출됩니다. 대부분의 화물을 용적기준으로 운임을 부과하며, 이 때 사용되는 운임산정단위가 CBM이라는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2. FCL

    FCL은 Full Container Load의 약자로, 하나의 회사가 자사의 화물로 단독으로 한 컨테이너를 모두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컨테이너 운송은 보통 컨테이너 단위로 진행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한대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신속하게 운반되는 장점이 있지만, 자사의 화물로 컨테이너 용량을 다 채우지 못해도 컨테이너 한대의 운송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따라서, DEAD SPACE를 줄이기 위해 수출자는 적절한 적재 수량을 계산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화물을 포장하여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해야 합니다.

    3. LCL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의 약자로, 운송사에서 소량의 화물을 모아서 한 컨테이너를 꽉 채우는데, 한 개의 컨테이너에 여러 회사 화물이 섞여있는 것을 말합니다. LCL은 컨테이너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운송사는 여러회사의 화물을 적재하면서 DEAD SPACE를 최대한 줄이려 노력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FCL보다 유리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CBM이란 CuBic Meter의 줄임말로 부피를 뜻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CBM은 가로 X 세로 X 높이로 계산이 되며, 물품의 부피에 따라 컨테이너의 종류 및 요금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기에 주요단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LCL이란 Less than Container Load라는 뜻으로 하나의 컨테이너보다 작은 분량의 화물을 뜻합니다. 컨테이너 하나를 채우지 못하는 화주의 경우 컨테이너를 통째로 빌리는 경우 운송료가 올라가게 됩니다. 이러한 부분을 방지하기 위하여 LCL로 계약을 체결하시면 포워더 측에서 화물들의 부피, 중량 등을 고려하여 물품을 혼재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선사는 더 많은 운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화주는 보다 저렴한 가격에 운송을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CBM(Cubic Meter, 입방미터)은 물품에 대한 부피를 말하며, 계산은 가로(W), 세로(L), 높이(H)를 미터로 변경하여 곱한 값을 말합니다.

    LCL은 물류용어 중 하나인데, 컨테이너 운송을 하는데 있어서 LCL(Less than Container Load/소량 화물)은 전체 컨테이너의 일부만 차지하는 선적을 말하며쉽게 말하면 한명의 화주가 하나의 컨테이너를 다 채우지 못하는 경우 여러명의 화주가 하나의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화물)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CBM : 'Cubic Meter'의 약자로서, 선박이나 화물 운송 수단에 적재되는 용적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보통 국제 무역에서, 운송 수단이나 적재함의 크기를 측정하거나 용적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CBM은 화물의 가로와 세로 높이를 미터로 환산해 곱한 결과로, 1CBM은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동일한 1미터인 정육면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LCL :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의 약자로서, FCL(Full Container Load, 화주가 1컨테이너 전체를 사용하는 경우)과 달리 컨테이너 한 개에 다 채우기에는 화물량이 부족하여, 여러 화주의 화물들로 1컨테이너를 구성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는 1~13 CBM까지는 LCL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재상 관세사입니다.

    1. CBM읙 개념

    CBM은 가로X세로X높이로 계산되는 용적이며, 용기의 용량에 얼마나 들어가는가를 나타내는 크기입니다. 물체가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인 부피와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2. LCL 의 개념

    LCL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우선 FCL의 개념에 대해서 아셔야 합니다.

    2-1) FCL ( Full container load )

    FCL은 Full container load의 약어로써 하나의 수출자가 하나의 컨테이너 전체를 다 채워서 선박에 선적을 진행할때 선사의 입장에서 해당 컨테이너를 FCL컨테이너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러명의 수출자가 적입작업하여 하나의 컨테이너를 공유하면 이를 LCL ( Less than a container load ) 라고 부릅니다

    FCL 컨테이너는 그렇기 때문에 1개 혹은 수개의 컨테이너에 1개의 B/L이 발행될 수 밖에 없고, LCL 컨테이너는 여러 수출자가 해당 컨테이너를 공유하기 때문에 1개의 컨테이너에 여러개의 B/L이 발행됩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1명의 수출자가 1개의 컨테이너에 적입을 하지만 해당 컨테이너 안에 물건이 도착지 국가에서 2명의 수입자에게 나뉘어 판매가 되는 경우는 1개의 컨테이너임에도 2개의 B/L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예 수출지 작업장에서부터 1개의 컨테이너에 여러명의 서로 연관이 없는 수출자가 공간을 나눴다면 이를 LCL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

    2-2) ) LCL ( Less than a container load )

    20FT DRY CONTAINER 내부 용적이 33.2CBM이며 해당 공간은 굉장히 큰 공간입니다. 많은 물품을 보내는 수출자의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몇박스 밖에 안되는 물품을 보내려고 하는 경우에는 용적이 얼마 안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전부를 쓰는건 사실 비용 낭비입니다.

    이렇게 소량의 물품을 수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LCL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이와 별개로 FCL 및 LCL이라는 개념은 해상운송에서만 사용하는 개념이며, 항공운송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