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삼국시대 중 왜 신라에만 여왕이 존재했나요?
우리나라 역사상 여왕은 세 명으로 모두 신라시대에 존재했는데요. 삼국시대의 다른 나라와 달리 신라에서만 여왕이 존재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신라에만 여왕이 존재한 이유를 알려면 신라의 골품제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골품제도는 삼국시대 신라에서 사회적 계층을 구분하고 신분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제도는 왕족을 포함한 귀족 계층을 더욱 세분화하여 성골(聖骨)과 진골(眞骨)로 나누었으며, 이러한 구분은 혈통을 기반으로 한 신분 체계였습니다.
성골은 왕족 중에서도 가장 높은 신분을 지닌 계층으로, 왕위에 오를 수 있는 자격이 있는 혈통을 의미했습니다. 성골은 주로 신라 초기에 왕위를 계승했던 왕가의 직계 후손들로 구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성골의 범위는 점차 축소되었고, 결국 몇몇 특정 왕족만이 성골로 남게 되었습니다. 성골 왕족의 수가 줄어들면서 왕위 계승이 어려워지자 여성도 왕위에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성골의 계승권을 유지하고자 했던 신라는 성골 혈통을 가진 여성이 왕위를 계승하는 것을 허용했습니다. 이는 신라에서 성골이 왕위 계승의 절대적 기준이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