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선인장은 왜 물없어도 잘자라는건가요?

사막에서 잘 자란다고 하는 선인장의 경우식물인데도 불구하고 왜 어떻게 물을 안뿌려져도 왜 잘자라는건지 왜 정말 궁금한데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선인장은 석죽목 선인장과에 속하는 식물을 일컫는 말인데요, 다육식물의 일종으로 고온 건조한 환경인 사막에서 생존하기 위해 보통의 식물들과는 달리 잎이 뾰족한 가시 형태로 변형되어 진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즉, 일반 식물은 잎을 통해 수분이 많이 증발하지만, 선인장은 잎 대신 가시를 가짐으로써 수분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보통의 식물들과는 달리 선인장은 두꺼운 줄기에 많은 수분을 저장합니다. 줄기 표면에는 두꺼운 왁스층(큐티클층)이 있어 수분이 쉽게 증발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됩니다. 이외에도 일반 식물은 낮에 광합성을 하면서 기공을 열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만, 선인장은 밤에 기공을 열며, 밤에는 기온이 낮고 공기가 덜 건조하기 때문에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사막에서는 비가 자주 오지 않지만, 올 때는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내립니다. 선인장은 뿌리가 얕고 넓게 퍼져 있어 비가 내리면 빠르게 물을 흡수하게 됩니다.

  • 건조한 환경에 적응한 특수한 구조 덕분입니다. 선인장은 잎 대신 가시로 수분 증발을 줄이고, 줄기에 많은 수분을 저장하며, 뿌리는 넓게 퍼져 있어 짧은 비에도 빠르게 물을 흡수합니다. 또한 낮에는 기공을 닫고 밤에 열어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는 독특한 광합성 방식도 활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선인장은 증산작용을 하는 잎이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물이 손실되지 않도록 체내에 수분을 머금고 있게 됩니다. 이런 원인으로 물이 없는 지역에서도 자랄수 있습니다.

  • 선인장도 물이 없이 자라지는 못합니다.

    다만,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물을 저장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저장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선인장은 줄기나 잎에 물을 저장하는 특별한 조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조직은 스펀지처럼 물을 흡수하고 또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어 건조한 환경이나 오랫동안 외부에서 물을 보충하지 않아도 생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선인장은 비가 오거나, 외부에서 물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면 최대한 많은 물을 흡수하여 몸에 저장합니다. 

    개다가 선인장의 잎은 가시로 변형되어 진화하였는데, 이는 표면적을 줄여 증발을 최소화하고, 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선인장의 표면은 두꺼운 왁스층으로 덮여 있어 수분 증발을 최소화합니다.

    특히 광합성의 방법도 다릅니다.

    선인장은 밤에 기공을 열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아 수분 손실을 줄이는 방식으로 광합성을 하여 수분의 손실을 막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