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굳건한홍관조95
굳건한홍관조95

스마트스토어도 D2C라고 할 수 있나요?

D2C는 이커머스 사이트가 아닌 보통 자기 채널을 이용해서 직접 고객에게 판매하는 것으로 알고이는데

스마트스토어도 사실은 네이버에 수수료를 좀 떼는게 맞지 않나요

그렇다면 D2C의 기준은 완전히 어떤 수수료도 떼지 않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D2C(Direct to Consumer)는 기업이 중간 유통 단계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유통 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여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는 판매자가 네이버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입니다. 이 경우 판매자는 네이버의 인프라와 트래픽을 활용하여 제품을 판매하며, 이에 대한 일정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D2C의 핵심은 중간 유통 단계를 최소화하고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를 이용하면 네이버라는 플랫폼을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므로, 완전한 의미의 D2C라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이는 오픈마켓이나 종합몰을 통한 판매와 유사한 방식입니다.

    반면, 기업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자사몰(자체 웹사이트)을 통해 판매하는 경우, 플랫폼 수수료 없이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으며, 고객 데이터도 직접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이 전형적인 D2C 모델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D2C의 기준은 유통 수수료의 유무보다는 중간 유통 단계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는 네이버라는 중개 플랫폼을 활용하므로, 엄밀히 말하면 D2C 모델에 완전히 부합하지 않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