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세심한향고래249
세심한향고래249

회사직원이 A형독감에 걸렸다고하는데 이건 어떻게 감염되는거죠?

나이
37
성별
남성

회사직원이 A형독감에 걸렸다고하는데 출근은 하는데 마스크를 하지는 않아서요. 비말로 감염되는건 아닌가요? 엄청 아프다고 하는데 감염되는건 아닌지 걱정이 들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독감은 대부분 비말감염 즉 재채기하거나 침이 튀거나 하는 식으로 전염이 됩니다. 젊은 성인은 대부분 저절로 호전되니까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좀 며칠 고생할 수는 있지만.. 독감감염자체를 원천 막기는 사실상 어려움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A형 독감은 비말로 감염이 됩니다. 따라서 감염된 분과 함께 생활하시는 분 모두 마스크 착용을 권고드립니다. 진단 후 5일정도는 조심하시면 되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현재 방역 지침상 해열제 없이 열이 내린 경우 24시간 경과 후, 해열제를 복용한 경우 48시간 동안 열이 없을 경우 외부 활동이 가능한 것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타인을 위해서라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겠지만, 본인 건강을 위해서 작성자 분이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A형독감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주로 비말 감염을 통해 전파됩니다. 즉, 환자가 재채기나 기침을 할 때 나오는 침, 콧물, 가래 등의 비말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가 만진 물건에 바이러스가 묻어 있고, 다른 사람이 그 물건을 만진 후 눈, 코, 입을 만지면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 직원이 A형독감에 걸렸다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출근하는 것은 감염 위험을 높이는 행위입니다. 만약 회사 직원과 가까이 접촉하거나, 환자가 만진 물건을 만진 후 눈, 코, 입을 만졌다면,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A형독감에 감염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열

    • 기침

    • 콧물

    • 목의 통증

    • 근육통

    • 피로감

    A형독감에 걸렸다면,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증상에 따라 진통제나 해열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독감 증상이 나타난 후 10일 정도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A형독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손을 자주 씻습니다.

    •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생활합니다.

    • 독감 예방 접종을 맞습니다.

    회사 직원이 A형독감에 걸렸다면, 위의 방법을 통해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A형 독감, 즉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는 주로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됩니다. 이는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공기 중으로 분비물이 퍼지면서 주변 사람들에게 전파되는 방식입니다. 또한, 독감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표면을 만진 뒤 눈, 코, 입을 만지는 것으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 동료가 A형 독감에 걸린 경우, 주변에서는 추가적인 조심이 필요합니다. 마스크 착용은 비말을 통한 감염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개인 위생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손을 자주 씻고, 얼굴을 만지는 것을 피하며, 가능하면 환자와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독감은 상기도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비말, 즉 침 방울에 의해서 전염됩니다. 직원이 기침을 하면 옆에 있는 사람들도 감염될 수 있는 것이지요. 마스크 좀 쓰라고 해야 될 것 같아요.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손씻기. 대화에 주의(마스크), 식사에 주의 정도가 예방책일 듯 합니다.

  •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상기도가 감염이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비말 접촉 및 공기 접촉을 통해서 전염이 이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