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보험은 수입의 몇 %를 가입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건가요?

저는 실비를 30대 중반에 가입을 했고 40대 중반부터는 암보험을 하나둘씩 들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여기저기 예기치 않게 아픈 데도 늘어나고 진료비 부담이 커지더라구요.

어떤 분은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한달에 50만원 이상 보험료가 지출되다보니 중간에 해약하는 경우도 있던데

보험은 본인 수입의 몇 % 정도를 가입해야 해지 안하고 끝까지 유지가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수입의 10%~15%의 금액을 보험료로 지출을 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다고들은 하지만 본인의 수입에 따라 느끼는 체감은 다를 수 있습니다 500만원의의 10%와 100만원의 10%는 부담이 다를 수 있습니다 본인에게 부담되지 않을정도로 보험료가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보험은 유지가 더 중요합니다 보험료부담으로 중도해지는 보장을 못 보게되는 안촣은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는 보통 수입의 10% 이내가 적당하며, 5~10% 범위 내에서 유지하는 게 가장 안정적입니다.

    너무 과하게 넣거나 여러 보험을 무리하게 가입하면 중도 해지 위험이 높아지고 결국 보장 혜택도 제대로 받기 어려워집니다.

  • 안녕하세요. 하현진 보험전문가입니다.

    건강보험의 경우 월 수입의 6~8%가 가장 적당한 보험료입니다.

    보험의 경우 장기간 납입을 해야 하므로 유지 가능한 금액인지, 추후에 보장을 받았을 때 적정한지를 고려했을 때 수입의 6~8%입니다.

    물론 보장 범위나 금액대가 커지면 보험료는 비싸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필수적으로 필요한(진단금, 항암치료, 수술, 입통원) 보장은 챙기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후에 추가적으로 간병이나 치아 등 보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가입하시는 방안을 추천드립니다.

    저축성 보험(연금 보험 등)의 경우 본인 수입의 10~20%가 유지하기에, 추후에 연금으로 받으실 때도 적정한 금액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에 대한 니즈에 따라서 수입의 5~20% 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기본적인 뼈대를 먼저 만드시고 그 이후에 여유가 되시면 조금씩 살을 붙이며 유지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말씀하신데로 여기저기 큰 생각없이 가입하다보면 50만원일 훌쩍 넘는경우도 생기고, 중간에 해지하게된다면 제대로 된 보장 혜택도 받지 못하기에 가입 한건 한건 비교하시면서 과한 보험료납입은 조심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통 10%정도면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그것보다 조금 더 여유롭게 넣어도 문제가 없으시면 최대 20%까지 보셔도 됩니다.

    그 이상이 되게되면 아무래도 유지함에 있어서 어려울수도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통상 '보장성보험' 보험료는 월소득의 5~10% 선이 가장 이상적이에요. (저축/연금/상속목적의 보험 제외)

    경험상 그 이상 넘으면 중간에 해지하거나 납입 중지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실손은 기본으로 깔고, 암·뇌·심장 진단비 중심으로 꼭 필요한 보장만 넣되

    중복 보장은 줄이고, 갱신형 비중은 최대한 낮추는 게 유지의 핵심입니다.

    결국 본인에게 맞는 보장은 확실하게 준비하면서 끝까지 유지해야 의미가 있는 거니까, 내 수입과 지출에 맞춰 설계하도록 방향을 잡으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통은 본인 수입의 10% 이내를 가입하죠. 그래야 보험료 납입이나 유지에 있어서 부담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영한 보험전문가입니다.

    전체 보험료(건강, 생명, 연금 등): 급여의 5~10% 이내가 적정하다고 여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