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구조조정

매너있는참매130
매너있는참매130

퇴사 예정인 직원이 회사에 서비스를 끊었습니다.

마케팅 직원이었던 분이 본인이 도입하고 수행했던 툴마다 서비스를 끊고 접근이 안되게 하는 행위들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A: 퇴사 통보일 (회사가 계약종료를 통보했을때 본인이 나가겠다며 '사직서' 작성. 원래 계약직이셨고 정규직 전환이 어렵다고통보했습니다.)

B: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사직서를 물러달라고 해서 원래 계약종료일까지 재택으로 하기로 함

C : 서비스 해지 발견 일

D: 계약 종료일


1 . 이렇게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접근할 수 없게 하는 것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 발견되지 않은 부분에서도 위해를 가했을까 찾아보려고 하는데 어떤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법적으로 문제가 없을지요?


2. 현재의 시점이 C 시점인데 너무 괘씸합니다. B에서 있었던 일을 없던 일로 하고 A로 퇴사처리를 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3. 대표님께서 계약 연장이 아닌 종료일 경우 약 300만원의 위로금을 주기로 했습니다. 해당 금액을 주지 않아도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까요? 서면으로 합의하지는 않고 구두로 보상해주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하기 이미지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