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중에 DDT라는 게 무엇인가요?
알쓸범잡이라는 다큐를 보았는데, DDT라는 게 있던데요. DDT의 피해가 상당하다고 했던데, 이러한 DDT가 어떠한 피해를 주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DDT는 디클로로 디페닐 트리클로로에탄 이라는 물질의 약자인데,
20세기 중반에 널리사용되었던 강력한 살충제입니다.
처음에는 말라리아와 해충 방제를 위해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었지만,잔류상이 너무나도 강해서 환경에 오래남아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쪼한 조류의 알껍질을 얇게만들기때문에
부화율을 낮추어 생태계에도 큰 피해를 주었다고합니다.
사람에게는 간과 신경계에 해를주고, 발암가능성과
기형아출산등의 가능성도 높이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많은나라에서 사용이 금지되거나
엄격하게 제한된상태에서 사용을 허용해준다고합니다.
DDT는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의 약자로 한때 ''적의 살충제'로 불리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지만, 이후 심각한 환경 및 인체 피해가 밝혀져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된 농약입니다.
먼저 DDT는 자연 환경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토양, 물, 퇴적물 등에 오랫동안 잔류합니다. 반감기가 수십 년에 달할 정도로 매우 안정적인 물질입니다.
또한 DDT는 지방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먹이사슬을 통해 생물체 내에 축적되게 됩니다. 작은 플랑크톤부터 시작하여 물고기, 새, 포유류 등 상위 포식자로 갈수록 DDT 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지는 생물 농축 현상을 일으키는 것이죠. 특히 조류의 경우 DDT 농축으로 인해 알 껍데기가 얇아져 부화가 되지 않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미국의 상징인 흰머리 독수리의 개체 수 감소에도 DDT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DDT는 인체에도 악영향을 미쳤습니다.
고농도의 DDT에 노출되면 흥분, 떨림, 발작 등 신경계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DDT가 환경 호르몬으로 작용하여 인체의 정상적인 호르몬 기능을 방해할 수 있어 생식 기능 장애, 면역력 저하, 암 발병 위험 증가 등 다양한 문제를 일이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연구에서는 DDT 노출과 간암이나 유방암 등의 발병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도했죠.
게다가 DDT는 인체 내 지방 조직에 축적되며, 체내 비타민 A, B, D 등의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 이는 안구 건조, 피부 건조, 면역력 저하, 생식 장애, 임신 관련 문제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DDT 는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으로서 1939년 처음으로 살충제로 사용되기 시작한 합성 유기염소계 농약입니다. DDT는 환경 생태계를 파괴하고 특히 맹금류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사람에게도 축적되어 건강 문제를 유발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DDT는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으로 잘 알려져 있는 합성 살충제 중 하나입니다. DDT는 유기 염소계 살충제로써 절지동물의 뉴런의 나트륨이온채널을 여는 작용을 촉진 합니다. DDT를 흡인한 곤충은 경련을 일으키고 최후에는 죽게됩니다.
DDT는 자연에서 반감기가 길게는 15년에 달하는 분해가 잘 되지 않는 오염물질이며, 대부분 토양에 존재합니다.DDT는 먹이사슬에 의해 생물농축이 일어나고 있으며, 여러 생물에 독성을 끼치고 있습니다. 대표적 예시로는 조류의 태아에 칼슘흡수를 방해하여 알껍질을 얇게 만든 사례가 있습니다. 그밖에도 새우, 갑각류, 어류에도 독성을 끼친 사례가보고되고 있으며 DDT 살충제를 뿌린 지역의 양서류에서도 생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된 기록이 있습니다.
따라서 1972년도 미국에서 DDT 사용을 전면 금지한 이후, 전세계적으로도 DDT 사용은 금지되었고, 일부 질병을 매개하는 곤충에 한해서만 DDT 사용이 허가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
농약 중 DDT라는 성분은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이라는 화합물입니다. 이 성분은 반감기가 비교적 길고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 토양이나 물에 잔류하게되며 인체에 악영향을 줍니다.DDT는 해충 방제를 위해 개발된 강력한 합성 농약으로, 한때 말라리아 퇴치에 크게 기여했지만 생태계와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 물질입니다. 특히 조류의 알껍질을 얇게 만들어 개체 수를 급감시키고, 인체에는 발암 가능성과 내분비계 교란 등의 영향을 미쳐 세계적으로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