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11.15

원효대사는 누구이고 어떤 업적을 가지고 있나요?

한국사를 공부하다 보면 원효대사라는 인물이 잠깐 등장하는데요.

원효대사가 출생과 성장 등 그가 누구이며, 어떤 업적을 이루었는지 알려주세요.

또, 종교적 가르침과 사상적인 내용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효(元曉)의 원래 성은 설씨(薛氏)이고, 어릴 때 이름은 서당(誓幢)이었는데, 출가하여 원효라는 법명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할아버지는 잉피공(仍皮公), 아버지는 나마(奈麻)를 지낸 담날(談捺)로 6두품 귀족입니다. 아버지가 '나마'라는 품계를 보면 왕경(경주)에서 살았을 것을 추측됩니다. 태어난 곳은 경북 경산시 자인면 혹은 압량면 지역에 해당하는 압량군 남쪽의 불지촌의 북쪽 밤골 사라수 아래에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원효는 661년 의상과 함께 당으로 건너가 유학을 시도하였으나 도중에 밤이 되어 무덤 사이에서 잠을 청하고 심한 갈증을 느껴 어둠 속에서 샘물을 손으로 떠 마셨는데, 아침에 확인해 보니 해골에 고인물이라는 것을 알고 홀연 모든 것은 마음 먹기에 달렸다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를 깨닫고 유학을 포기하고 국내에서 수행합니다.

    원효는 계율에 얽매이지 않는 파격적인 행보를 했습니다. 이두를 만든 설총은 태종 무열왕의 둘째 딸 요석공주와 상에 관계에서 낳은 자식입니다. 이 일로 그는 승복을 벗고 스스로 소성거사라 부르며 민가에 머물러 불교의 이치를 널리 퍼트립니다.

    원효는 <대승기론소>,<금강삼매경론>,<십무화쟁론>등의 저술을 했으며, 모든 진리는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 사상을 불교의 핵심으로 여겼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화쟁 사상'을 주장하여 종파 간 논쟁을 조화롭게 승화시키려고 하였습니다. 또한, 중생의 마음이 부처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며, 불교의 교리를 쉬운 노래(무애가)로 만들어 부르며 백성에게 '아미타 신앙'을 적극 전파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시대의 고승으로 648년 황룡사에서 스님이 되어 각종 불전을 섭렵하며 수도에 정진했습니다.

    650년 의상과 함께 당의 현장과 규기에게 유식학을 배우려고 요동까지 가나 그곳 순라군에게 첩자로 몰려 여러날 갇혀있다 겨우 풀려 돌아왔고 10년 뒤 다시 의상과 함께 해로를 통해 입당하기 위해 가던 중 해골에 괸 물을 마시고 진리는 결코 밖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자기자신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깨달음을 터득하고 의상과 헤어져 돌아옵니다.

    655년~ 660년 사이 요석공주와의 사이에서 설총을 낳았는데 이 실계의 사실이 오히려 원효로 하여금 더욱 위대한 사상가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되는데 실계 후 스스로를 소성거사라 하며 광대들이 무롱하는 큰 박을 본 다 무애박을 만들어 천촌만락을 노래하고 춤추며 교화합니다.ㅏ

    그 노래의 줄거리는 화엄경의 이치를 담은 것으로 모든 것에 거리낌이 없는 사람이라야 생사의 편안함을 얻나니라. 라는 누구나 쉽게 알아들을수있는 노랫가락으로 그 노래를 무애가라 부릅니다.

    별다른 이유없이 미친사람과 같은 말과 행동을 하여 이해할수 없는 점도 있어 거사들과 어울려 술집이나 기생집에도 드나들었고 혹은 가야금과 같은 악기를 들고 사당에 가 음악을 즐기기도합니다.

    그는 또 여염집에서 유숙하기도 하는 등 대중들과 쉽게 만날수있는 생활을 하고, 이로 인해 가난뱅이나 어린이들까지 모두 부처님의 이름을 알고 염불할수 있게 되었다고 하며 그의 일생은 화쟁의 방법에 의하여 자리를 구하고 대중교화를 통해 이타를 행함으로써 석가 이후 상구보리 하화중행으로 대표되는 불타의 참정신을 구현한 것으로 일관되었다고 할수있습니다.

    금강삼매경에 대한 주석서나 대승기신소론 등에서 볼수있는 일심사상, 무애사상, 화쟁사상 등은 민중교화승으로 당시 왕실 중심의 귀족화된 불교 이론을 민중불교로 바꾸는데 공헌, 종파주의적인 방향으로 달리던 불교이론을 고차원적인 입장에서 회통시키려 한 대저술로, 그의 세계관을 알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