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하얀콩중이125
하얀콩중이125

너무 운동을 안해도 성장판이 늦게 닫히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0

너무 영양상태가 좋지많은 북한사람들이 탈북하고 잘 먹으면 막 25살 이런데도 키가 큰다고하잖아요

그러면 운동에도 저런 보상작용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성장판은 일반적으로 사춘기 이후에 점차 닫히기 시작해요. 운동은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운동 자체가 성장판이 늦게 닫히게 하지는 않아요.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는 유전적 요인과 호르몬 변화에 크게 좌우되죠. 북한에서 잘 못 먹고 자란 사람들이 영양을 충분히 섭취한 후 키가 크는 것은 본래 가지고 있던 성장 가능성이 영양이 보충되면서 발현되는 것이며, 이는 체내 중요한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운동도 건강한 성장을 도울 수 있지만, 적절한 영양 섭취가 더 중요하답니다. 그러므로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균형 잡힌 식사를 유지하는 것이 성장과 전반적인 건강에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성장판의 닫힘은 주로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환경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운동은 신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운동을 통해 근육과 뼈에 적당한 자극이 가해지면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될 수 있어, 일정 부분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동을 지나치게 하지 않거나 하지 않는다고 해서 성장판이 늦게 닫힌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성장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북한에서 탈북한 사람들이 영양 상태가 개선된 후 성장하는 예도 있듯이, 영양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성장 잠재력이 발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주로 환경적 요인과 개인의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운동을 안해서 성장판이 늦게 닫히는건 아닙니다.

    성장판은 일반적으로 18세에서 20대 초반에 대부분 닫히기 때문에, 성인이 된 후에는 성장판이 열리지 않아 키가 더 자라지 않습니다. 하지만 영양 상태가 부족했던 어린 시절에 성장판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한 경우, 영양 상태가 개선되고 충분한 운동을 통해 체격이 발달할 수는 있습니다. 다만, 성인이 된 후에는 키 성장보다는 근육량 증가나 체형 개선이 주요한 효과로 나타납니다.

  • 운동 부족은 전반적인 성장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운동이 정상적인 양보다 부족하게되면 성장 호르몬 감소, 성장판 자극 부족, 비만 위험 증가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운동부족이 직접적으로 성장판 닫히는 속도를 바꾸지는 않지만 전반적인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