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흑자인데도 좋지 못하다고 하는 이유는?
경상수지가 흑자가 나왔는데요.
그런데도 좋지 못하다는 의견이 나오는데, 어떠한 이유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가 흑자임에도 좋지 못하다는 평가는 불황형 흑자가 주된 원인이기 때문입니다.
수출이 감소한 상황에서 수입이 더 크게 감소하여 흑자가 발생하였다면 이는 경기 침체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상수지가 흑자임에도 걱정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안타깝지만 이제부터 미국 관세가 한국 경제에도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 전망 되기에 염려가 된다고 합니다.
이로써 부정적인 효과가 우리 경제에서 나타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가 흑자인데도 좋지 않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는 내용이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수출이 잘되서가 아니라 수입이 줄어서 생긴 흑자라면 그건 내수 경기 부진과 기업들의 투자 위축을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 흑자라 하더라도 특정산업 흑자가 몰린경우 전반적 상황은 안좋을수 있으며, 시중에 돈이 돌지않아 경색이 일어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가 흑자인데도 좋지 않다는 말은 그 흑자가 수출 증가보단 수입 감소로 인해 생긴 경우일 수 있어요.
즉, 기업이나 국민들이 소비 및 투자를 줄여서 수입이 줄어든 결과라면 경기 위축의 신호일 수 있죠.
다른 경우로 해외에서 벌어온 이자및 배당으로 흑자가 난 경우인데, 국내 생산이나 고용에 직접적인 기여가 적어 체감 경기가 나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가 흑자가 나도 삼성이나 하이닉스 등 일부 대기업에 집중되어 있어 타 기업들의 실적은 좋지 않아서 적반적으로 경기가 좋지 않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수출이 증가해서 흑자를 기록한게 아니라 올해 내내 수입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고 이로인해서 수출도 더딘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에도 높은 흑자를 보이는게 구조적이유입니다
이를 불황형흑자라고 하며 이는 국내 소비나 기업의 투자나 재고생산이 감소하여서 수입이 감소한게 원인입니다 즉 본질적으로 국내 소비와 투자가 좋지않아서 발생된 흑자이므로 우려를 하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가 흑자라고 다 좋은 건 아닌 게, 수출이 잘돼서 난 흑자인지 아니면 수입이 줄어서 생긴 흑자인지가 중요합니다. 요즘처럼 내수 위축되고 원자재 수입이 줄어 흑자가 난 경우는 오히려 경기 둔화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히 소비나 설비투자가 위축돼서 수입이 줄면 기업 활동도 위축된 거라서 겉보기엔 흑자지만 속은 썩고 있는 셈입니다. 그래서 숫자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되고 그 안에 흐름을 같이 봐야 한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가 흑자임에도 불구하고 좋지 않다고 평가를 받는 이유는, 내수 소비와 투자가 위축돼 수입이 급감하면서 생기는 불황형 흑자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즉, 수출이 증가해서가 아니라, 국내 경기 침체로 수입이 줄어 흑자가 발생하면, 경제 성장 동력이 약화되고 국민 생활 수준도 악화될 수 있습니다.
수출이 늘어서가 아니라, 내수 부진이나 경기 침체로 인해 수입이 급감하면서 생긴 흑자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가 하락, 국제물류비 감소 등 외부 가격요인으로 인해 무역수지가 좋아질 수 있는데요
하지만 이는 국내 생산성이나 경쟁력 향상 때문이 아니라서 구조적 개선으로 보기 어렵다고 생각하구요
비정상적인 요인에 의한 흑자는 오히려 경제가 안 좋다는 신호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가 흑자인데도 좋지 못하다고 하는 원인은 불활형 경상수지 흑자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기 불황기에 수출과 수입이 감소하나 수입이 수출보다 더 크게 줄어들게 되어 경상수지가 흑자로 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경상수지가 흑자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경기가 좋지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마냥 좋은 것은 아닙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 흑자가 100억달러를 넘어섰으나, 철강·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넉 달만에 감소하는 등 점차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좋다고만 볼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