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증시가 하락하는 이유는 단기간에 너무 상승한 영향으로 조정일까요?
3100까지 상승했던 코스피가 어제 오늘 연속으로 1%대 하락을 했더군요.
단기간에 너무 많이 상승한 영향이 있겠지만 하락한 기간에 미국 증시가 상승을 하여서 국장이 내린것은 다소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상승을 위해서는 또 하락도 필요하고 건강한 조정은 증시에 더 도움이 될 거 같은데 현재 국내증시가 하락하는 이유는 단기간에 너무 상승한 영향으로 조정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연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코스피지수는 최근 예상치를 넘어서는 강한 상승랠리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더 상승하는 것은 주가지수의 부담만 가중되는 형태가 되버립니다.
건강한 조정은 언제나 상승을 위해 몸을 웅크리는 개구리같은 영향을 주곤 합니다.
단기조정을 주면서 상승을 해야. 그 지수자체에 부담이 없게 되여 안정적인 상승이 가능한 구조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으리라 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그 이유는 코스피 3000이 박스권 상단이며 최근의 코스피의 경우 약 10%이상의 상승을 했습니다. 역사적으로는 박스권상단에서 하락을하고 지지못했능데 이러한 역사적기록을 통해 사람들은 미리 수익을 본종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가는 상승의 힘이 약해진 것도 있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는 엄청난 유동성으로 단기간 급등세를 연출하였어요
의미 있는 라운드피겨 가격대인 3000도 가뿐하게 돌파하였으나 최근 요 며칠동안 외인 및 기관 매도 영향으로 보여요.
코스피 일봉 상 갭 자리아 3020~월봉 상 상단 추세 자리 약 3024 정도 지지 해준다연 건강한 조정으로 보여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아무래도 코스피가 최근 단기적으로
급등을 하였고 이에 다른 외인들의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조정이 나오는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오늘의 조정은 단기간 너무 과도하게 주가가 오르기도 해서 외국인들의 시세차익 매물이 나오면서 조정이 발생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어제 오늘 한국 증시가 하락한 것은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 성경이 강합니다. 6월 한 달간 코스피는 14% 넘게 오르며 과열 신호가 뚜렷했고, 투자 경고 및 단기 과열 종목 지정도 급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실적 개선보다는 기대감에 의한 급등이 많았던 만큼, 단기 조정은 자연스러웈 현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실적 발표와 대외 변수에 따라 추가 조정 가능성도 있어 신중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이란과의 협상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 되면서 다시금 중동학적 리스크가 재발이 되면서 조정의 빌미로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최근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능성이 낮아지고 잇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는것도 조정의 빌미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증시가 기술적으로 매우 급등을 하면서 이런 요인들이 일종의 차익매물로 나오게 될 이유가 되면서 대거 매물이 나오면서 기술적 하락이 이어지고 있는것으로 보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전반적으로 조정 장세로 보시면 될 듯합니다.
최근 3개월 동안 아래 코스피 그래프를 보시는 것과 같이 새로운 정부 출범에 맞물려서 크게 상승했습니다.
대내외 여건은 아직 명확하게 해결된 바가 별로 없는 전형적인 유동성 장세입니다. 지속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조정은 필수적입니다.
한국 증시는 저평가 되었다는 컨센서스도 있어서 대내외 여건이 완화되고 미국 등 주요국 금리가 하락이 시작될 경우 추가 상승 여지도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