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인간의 성기 주변에는 왜 털이 있나요?

보통 생물은 환경에 맞춰 진화하고 퇴화하고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인간의 성기 주변에는 왜 털이 있는 건지 모르겠는데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성기 주변 털은 마찰 완화, 땀흡수, 세균 이물질 차단 등과 같은 역할을 한답니다.

    또한 성적 성숙 신호의 역할도 한느거죠

  • 사실 정확한 이유를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가설이 있고, 그 중에서도 가장 유력한 가설은 페로몬과 성적 신호 전달 기능입니다.

    인간의 몸에는 땀샘의 일종인 아포크린샘이 겨드랑이와 성기 주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습니다. 이 샘에서는 특유의 냄새를 가진 땀을 분비하는데, 이 땀에는 페로몬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음모는 이 분비물을 흡수하고 공기 중에 확산시키는 역할을 해 성적인 매력을 어필하도록 하는 것이죠.

    그 외에도 마찰 완화와 보호, 온도 조절, 시각적 신호 등이 이유라는 가설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간의 성기 주변에 털(음모)이 존재하는 이유는 단순히 “남아 있는 털”이 아니라, 진화 과정에서 특정 기능적·사회적·생리적 이유 때문에 유지된 것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우선 성기 부위는 걷기, 달리기, 성행위 등에서 피부와 피부, 혹은 피부와 옷감이 자주 마찰하며 음모는 완충재 역할을 하여 마찰로 인한 피부 손상, 발진, 물집을 줄이게 해줍니다. 또한 털은 공기 중 먼지, 미세 입자, 곤충, 피부에서 떨어지는 각질 등이 바로 피부나 점막에 닿는 것을 막는 필터 역할을 하는데요, 땀샘과 피지샘 분비물과 결합해 피부 표면의 미생물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해, 일부 병원성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기도 합니다. 즉 정리해보자면 인류 진화 과정에서 대부분의 체모가 줄어든 건 체온 조절과 기생충 감소에 유리했기 때문이며, 음모는 위의 기능적·사회적·성적 역할 덕분에 자연선택에서 불리하지 않았고, 오히려 일부 측면에서는 이점이 있었기 때문에 남아 있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성기 주변에 털이 있는 것은 진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며 현재까지 남아있는 특징입니다. 이는 성숙함을 알리는 신호, 체온과 습도 조절, 외부 마찰로부터 피부 보호, 그리고 페로몬 확산 등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