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인플레이션 헷지하려면 자산이 매년 얼마나 늘어야 하나요?

통화는 매년 발행되기에 자연스레 가치가 떨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플레이션 헷지하려면 자산이 매년 얼마나 늘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게 결국 돈의 가치가 줄어드는 거라 자산이 그 속도를 따라가야 의미가 있습니다. 보통 우리나라 기준 물가상승률이 2퍼센트에서 3퍼센트 정도라서 최소 그 정도는 자산이 늘어야 한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생활비나 금리 상황에 따라 체감 물가가 더 높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평균 수치보다 조금 더 여유 있게 잡아야 안정적이라 생각됩니다. 주식이나 부동산처럼 변동성이 큰 자산을 쓰는 경우는 물가율을 크게 웃도는 수익을 내야 헷지 효과가 생긴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연평균 물가상승률이 3프로 전후 라고 생각한다면 인플레이션 헷지를 하려면 자산이 연 수익률 3프로 이상은 나와야 헷지가 된다고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인ㅊ플레이션 햇지의 경우 인플레이션을 방어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오르는 것을 방어하여 실질적으로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을 느끼지 않아야 합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율의 경우 해마다 다르지만 평균 5%정도의 인플레이션이 있다고 한다면 자산증가가 6%정도는 되어야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것을 느끼지 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따라서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느끼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산증식이 성공을 해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인플레이션을 헷지하기 위해선 자산이 얼마나 늘어나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인플레이션을 헷지하려면 최소한다 자산의 가치가

    인플레이션율 보다는 높게 올라가야 합니다.

    가령 인플레이션이 3퍼센트라면 자산이 최소 3.1퍼센트는 상승해야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결국 현재의 물가상승률을 앞서야 하며 특히 국내의 물가상승률은 다른 OECD국가와 비교하여 부동산 자산 가격에 대한 물가상승분 기여도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이부분까지 고려한다면 좀더 높은 수익률이 필요합니다. 최근 국내의 소비자물가 지수는 2~2.5%대의 평균 2%초중반대에 멀루러 있으나 결국 부동산 자산가격상승분기여도까지 고려한다면 이보다 2배높은 수익률인 5%정도의 수익률이상이 되어야 어느정도 물가상승분 이상으로 헷지할 수 있다고 보입니다.

    특히 추가적으로 이렇게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로 이에대한 프리미엄이나 세금 비용까지 고려한다면 5~7%이내의 목표수익률로 적극적인 자산증식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물가상승률 평균은 연 2~3% 수준이며 글로벌은 3~4%가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자산은 최소 3%이상, 안정적 투자는 5%이상 성장을 목표로 해야 인플레이션을 방어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헷지를 위해서는 자산의 명목수익률이 인플레이션율(물가상승률)보다 높아야 합니다. 그래야 돈의 실질 가치가 유지되거나 증가할 수 있습니다.

    자산이 인플레이션을 헷지하려면 자산의 가치 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을 초과해야합니다. 이를 가장 쉽게 이애하는 방법은 피셔 방적식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명목수익률= 실질수익률+ 인플레이션율

    여기서 명목수익률은 은행 이자나 주식 투자 수익률처럼 눈에 보이는 수익률이고 실질수익률은 인플레이션을 제외한 실제 자산의 가치 증가율입니다.

    만약 인플레이션율이 3%라면 자산의 가치가 최소한 3%이상 증가해야 실질적인 손해가 없습니다. 만약 자산이 2%증가했다면 돈의 액수는 늘었지만 물가 상승으로 인해 돈의 실질 구매력은 1%감소한 것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을 헤지하려면 매년 자산 수익률이 인플레이션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3% 인플레이션 시 자산이 최소 3% 이상 성장해야 실질 구매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인플레이션율에 세금•수수료•변동성을 고려해 약간 더 높은 수익을 목표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