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혀는 부분마다 짠맛,단맛,신맛을 느낀다는데 그게 맞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43

혀가 맛을 느끼는 부위가 다 다르다고 하는데 무슨 쓴맛, 단맛, 신맛,짠맛 이렇게 느낀다하더라고요.

근데 그 부위에 댄다고 그런맛이 안나는데 왜 그렇게 구역을 나누고 정의를 한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맛을 느끼는 수용체는 혀의 특정 부위에 모여 있는 것이 아니라, 혀를 비롯해 입천장 전체에 퍼져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와 동시에 전세계에 상식으로 알려졌던 혀의 맛 지도는 잘못되었음이 인정되어, 과학 교과서에서 이를 제외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혀의 미각지도는 오랫동안 교과서에도 실렸던 잘못된 정보예요. 실험을 통해 혀의 모든 부위가 다양한 맛을 감지할 수 있다는게 밝혀졌어요. 단순히 미각수용체의 분포가 부위마다 조금씩 다를 뿐이고, 우리가 맛을 느끼는건 혀 전체와 후각, 뇌가 같이 작용해서 만들어내는 복합적인 경험이에요. 그래서 감기에 걸려 코가 막히면 음식 맛을 잘 못 느끼는 것처럼요. 맛의 구역을 구분하는건 과거의 잘못된 연구결과가 계속 인용되면서 잘못 알려진 내용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혀의 모든 부위에서 모든 기본 맛(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정 맛을 느끼는 민감도가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이는 극히 미미한 차이 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혀가 맛을 느끼는 방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전통적으로 혀는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는 구역으로 나뉜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이는 예전 연구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혀의 특정 부위가 쓴맛, 단맛, 신맛, 짠맛을 더 잘 느낀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혀의 모든 부분은 모든 종류의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즉, 혀 전체가 다양한 맛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특정 부위가 특정 맛에만 반응하는 것은 아닙니다. 과거 연구의 해석이나 표현 방식에서 오해가 생긴 것인데, 현재는 전반적인 맛 수용의 이해가 더 발전했습니다. 맛을 느끼는 수용체는 미뢰라는 작은 구조 안에 있으며, 이 미뢰는 혀 전체에 걸쳐 다양한 맛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이 느끼는 것처럼, 혀의 특정 부분에 특정 맛을 대도 그 맛을 느끼지 않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혀의 특정 부위가 특정 맛만을 느낀다는 것은 오래된 오해입니다. 실제로는 혀 전체가 모든 맛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해는 과학적 연구의 발전과 함께 점차 바로잡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