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의료 보험

시뻘건앵무새111
시뻘건앵무새111

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만약 의료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는 사람이

병원가서 진료를 볼 경우

어떤 불이익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어떤 절차로 병원비가 계산되는지도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으면 병원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료비를 전액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건강보험에 가입하면 급여 항목에 대해 공단에서 일부 부담하고, 비급여 항목은 전액 자비로 처리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으면 의료비를 전액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의료비는 병원 진료, 검사, 수술 등에서 매우 높은 금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검사 비용은 비급여이고 우리가 할인을 받는 것은 급여 부분입니다 대충 예를 들면 감기 치료를 받을 때 우리는 3,000원을 내는데요 가입이 되어 있지 않는다면 만 원 이상을 내야 하게 됩니다 이것이 보통 급여 부분이고 mri ct 엑스레이 같은 검사 비용은 보통 비급여 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국민건강보험 미가입자라면 의료보험 혜택을 볼수가 없습니다,

    그럼 급여 혜택을 전혀 볼수가 없으므로 비급여로 진료를 보셔야합니다,

    병원비가 비싸지게 되세요.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만약 의료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는 사람이 병원가서 진료를 볼 경우 어떤 불이익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면,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을 수 없어, 병원진료시 일반처리가 되어 많은 의료비를 부담하게 됩니다.

    또한 어떤 절차로 병원비가 계산되는지도 궁금하네요.

    : 별도의 절차는 없고, 일반수가로 산정된 의료비를 지급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국가의료보험인 건강보험은 사회보험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 의무가입 대상입니다.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으면 병원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료비를 전액 자비로 부담하여 의료비 지출부담이 생깁니다.

    또한 건강보험 미가입이 적발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 커뮤니티 지식 파트너사 시그널플래너입니다.

    의료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으면 의료비에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만약 긴급한 상황에서 치료를 받아야 할때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병원비의 전액을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6회 이상 체납시 보험급여를 제한을 둘 수 있으며,
    금융거래의 불이익이 있을수 있습니다.
    1년이상 미납시 대출이나 신용카드 제한등도 있을 수 있구요~
    장기 미납시 발생하는 연체로도 상당히 클 수 있으므로, 최대한 빨리 문제 해결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영업전화가 없는 채팅 보험상담 앱, 시그널플래너에서 답변드렸습니다.~!

    시그널플래너 배너
  •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있지 않은 사람(우리나라 국민이면 가입이 되어있습니다)이라도 병원진료는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병원비를 환자가 부담하게 됩니다.(건강보험 공단부담금이 환자 부담으로 추가됩니다.)

    일반 진료로 처리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의료보험에 가입을 하시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모든 진료비는 비급여로 계산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래도 진료비에 대한 부담이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계산은 기본적으로 건강보험에서 보장하는 급여 부분과 그리고 보장하지 않는 비급여 부분으로 계산이 됩니다. 추가적으로 비급여 항목은 mri 등 건강보험에서 당장 보장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인 진료 부분입니다.

  • 국민 건강 보험에 가입이 되어 있지 않으면 건강 보험의 치료비 혜택을 받지 못하여 모든 치료비를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건강 보험의 적용이 되면 공단에서 부담하는 금액은 병원에서 건강보험 공단에 청구하여 받고 환자 부담분만 환자에게 받게 되어 일반 통원 치료시에 몇천원만 내면 되나 건강 보험의 적용을 받지 못하면 치료비 전액을 환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통원 치료 등에서는 그 금액이 작을 수 있으나 큰 병이 걸려서 입원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 치료비가 아주많이 나올 수 있어 건강 보험은 필수로 가입을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국민건강의료보험에 가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병원진료나 치료때 모든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합니다 의료보험에 가입이 되어 있다면 공단부담금 70%정도로 본인부담금이 30%정도입니다 물론 비급여항목은 전액본인이 부담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