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전이전이
전이전이23.04.12

부채담보부증권(CDO)란 무엇인가요?

부채담보부증권(CDO)에 대해서 알고 싶은데요. 부채담보부증권(CDO)은 어떤 금융 상품인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DO는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의 약어로채권이나 대출 등 다양한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발행되는 증권화 상품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CDO는 은행, 금융 기관 등이 소유하고 있는 다수의 채권을 묶어서 패키징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증권 상품을 발행하는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증권 상품은 대출상환금이나 이자 수익을 담보로 발행되므로, 이에 따른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분하는 것입니다.

    CDO는 다양한 채권 등을 묶어서 발행되므로, 투자의 위험도와 수익도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고위험, 고수익의 투자상품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최근 금융위기 이후CDO가 부실 채권과 연관돼 우려가 되었지만, 이전에는 선진국에서 매우 인기 있는 상품으로 자리잡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채담보부증권은 채무증권을 기반으로 발행된 금융 상품입니다. 일반적으로 크레딧 카드 채무, 주택담보대출 채무, 자동차 대출 채무 등의 채무를 모아서 여러 개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기반으로 발행된 채권이예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채당보부증권이란

    회사채나 금융회사의 대출채권 등을 한데 묶어 유동화시킨 신용파생상품으로

    보다 국채 등에 비하여 이자율이 높은대신에 리스크가 더 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회사채나 대출채권 등 기업의 채무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유동화증권을 발행하는 금융기법의 한 종류입니다. 수익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것(Arbitrage CDO)과 신용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것(Balance Sheet CDO)으로 구분됩니다.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경우에는 회사채담보부증권(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 대출채권인 경우에는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Collateralized Loan Obligation)이라고 합니다.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하여 채권보증업체(모노라인)들이 보증을 서기도 하며,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채권들을 섞어 새로운 신용등급의 CDO를 만들기도 합니다. 신용등급에 따라 다시 최우량CDO·우량CDO·비우량CDO·에쿼티(equity)로 구분된다. 그러나 어떤 채권이 담보로 편입되어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는데다가 담보로 사용된 회사채나 대출채권이 제때 상환되지 않을 경우에 최우량CDO라 하더라도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1990년대 중반에 처음 등장한 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발행 규모가 증가하였으며, 2006년 미국 등지에서 1조 달러 규모의 CDO가 발행될 정도로 성행하였습니다. 미국의 모기지 전문 대출기관들은 부동산 활황을 틈타 대출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모기지 채권이나 모기지담보부증권(MBS)를 대량으로 발행하였고, 투자은행들이 이를 사들여 합성한 뒤 발행한 채권이 바로 CDO였습니다. 2007년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이른바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가 벌어져 채권 가격이 폭락함으로써 주요 금융회사 등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고 미국의 금융위기로 이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