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피보험자격확인청구를 하게되면 사업주가 얼마를 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알바하는곳에서 4대보험없이 최저시급
주5일 45시간을 일하고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180일을 채웠습니다.
수술비가 상당해서 실업급여를 받고 싶어
알바하는 곳 사장님이 법무사를 통해서 방법을
알아봐주신다고 하셨습니다.
1. 제가 피보험자격청구를 하게되면
그 동안 내지 못한 4대 보험료를
저와 사장님이 부담한다고 알고있고
금액이 얼마인지 알고싶습니다.
2. 사업주(알바사장)님이 알바생에게
4대보험을 들지 않아 과태료를 내신다고 알고있는데
그 금액이 얼마인지,
과태료라는건 안좋은 의미인데
혹시 사장님이 영업에 지장이 생기는지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그 외에 제가 모르는 추가로 드는 비용도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 소급하여 납부해야할 보험료 총액의 절반을 근로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2. 고용보험, 국민연금은 300만원 이하, 건강보험은 500만원 이하, 국민연금은 5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1. 근로자부담분은 9.4% 정도이고 사업주는 여기에 산재보험료가 추가됩니다. 산재보험료는 업종마다 다릅니다.
2. 과태료 3만원이고 그외에 지장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미납한 보험료 중 질문자님과 회사가 각각 반반씩 부담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질문자님의 근무중 월급여를 알 수 없어
정확한 납부금액은 확인이 어렵습니다.
2. 과태료 금액이 크지 않고(몇 만원) 미납한 보험료만 납부한다면 과태료가 나오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