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기운찬갈매기134
기운찬갈매기13422.01.25

은행한곳에 5000만원 이상 저축해 놓으면 안전하지 않나요?

은행에보면 5000만원 까지만 예금자 보호법에의해 보호를 받는다고 하는데 새마을금고나 농협 수협과 같은곳에 저축을 한다면(대형은행보다 이자율이 더 높은거 같아서요) 5000만원 이상이 된다면 여러은행에 나누어서 저축을 하는것이 안전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미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자보호법은 금융회사가 파산 등의 사유로 예금등을 지급할 수 없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예금보험제도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예금자등을 보호하고 금융제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입니다.

    여기서 예금자보호법에 해당되는 금융회사는 아래가 해당이 됩니다.

    가. 「은행법」 제8조제1항에 따라 인가를 받은 은행

    나. 「한국산업은행법」에 따른 한국산업은행

    다. 「중소기업은행법」에 따른 중소기업은행

    라. 「농업협동조합법」에 따른 농협은행

    마. 「수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된 수협은행

    바. 「은행법」 제58조제1항에 따라 인가를 받은 외국은행의 국내 지점 및 대리점(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외국은행의 국내 지점 및 대리점은 제외한다)

    즉, 일반 시중은행 및 특수은행(농협,수협 등)은 모두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원금+소정의이자 포함 인당 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새마을금고는 예금자보호법의 대상은 아니나 새마을금고 자체적으로 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를 위한 제도를 별도 구축해놓았으므로 마찬가지로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포함하여 5천만원까지는 보호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한 은행에 5천만원을 초과하는 예금이 있는 상태에서 은행이 파산 등의 사유로 예금지급이 불가하다면, 5천만원 이상의 금액에 대해서는 보장 불가하므로 질문하신 것처럼 각기 다른 금융기관에 분산하여 예치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장효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이론상으로는 그렇습니다.

    그러나 기회비용 몇가지를 고려해봐야 합니다.

    1. 관리의 어려움

    -> 10억의 현금을 예금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5000만원씩 총 20군데 은행에 저축해야 하는데.

    일일히 은행을 돌기 힘들고, 또 계좌를 관리하는것이 귀찮을 수 있습니다.

    2. 은행의 부도가능성

    1금융권 은행과 달리 영세은행들은 부도가능성이 큽니다.

    여러군데 은행에 예금을 하다보면 영세은행에도 예금을 할수도 있는데.

    만약 은행이 부도날경우 원금 5000만원은 이론상 안전하나.

    이자의 상당부분을 못받을수도 있고. 또 원금을 되돌려받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3. 정부를 믿는다면 우체국에 예금하세요.

    일반 은행은 부도시 5000만원까지만 보장해주나, 우체국은 그 이상도 보장해줍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제1금융권이든 2금융권이든 대부분 5천만원 선에서 예금자 보호법이 적용되어 은행권이 폭망하여도 5천만원까지는 보상을

    해주는 님께서 안전을 추구하신다면 각각 은행에 5천만원씩 넣어두는게 좋다고 합니다.. 수년전에 저축은행 폭망으로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였지만, 그계기로 나름 금융위등 보다 안전하게 대응 및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보통 은행등이 쉽게 폭망하기가 쉽지

    않겠지만, 100%은 아니기에 분산 예금하시는게나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신다면 5000만원 이상이라면 말씀하신대로 여러은행에 나누어서 저축을 하는것이 안전합니다.

    다만 말씀하셨던 농협과 수협 같은 경우 제 1금융권에 속한 은행으로서 비교적 규모가 크고 안정적입니다.

    제1금융권도 리스크가 없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예금자 보호법 생각해서 나누어 놓는 은행들은 제2금융권의 저축은행들이나 그 밖의 제도권 밖의 금융기관들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그래서 저도 어릴 적에는 왜 한 곳에다가 돈을 안 넣고 여러군데 넣을까? 궁금했었는데 그런 이유가 있더라구요.

    혹은 얼마까지만 가입이 가능한 이자율 높은 상품이라던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단 여러군데 분산하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