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가 계속 상승하는 이유가 뭔가요?
물가가 높다며 물가 잡겠다면서
물가를 잡으려면 수입물가가 낮아야하는데
정부가 외환보유고가 없는것도 아닌데
정부가 윈화 약세를 방치하는듯. 한. 모습은 착시인가요?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달러의 가치를 높이고, 다른 국가의 화폐 가치를 하락시키기 때문에 환율이 상승합니다. 왜냐하면 달러는 더 많은 외국 자금을 끌어들이기 때문입니다.또한, 경기 침체는 기업들의 수익이 줄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가 줄어들어 해당 국가의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고, 결과적으로 환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제 정세의 불안은 안전 자산으로 간주되는 달러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킵니다. 이는 달러의 가치를 높이고, 다른 나라의 화폐 가치를 낮추어 환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원화가 상승하는 이유는 무역수지 흑자입니다. 무역수지가 흑자를 기록하면 국내로 달러가 유입되어 원화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는 것도 원화의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외국 투자자들이 국내 자산에 투자를 늘리면 달러가 유입되어 원화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또한,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시중에 유동성이 늘어나 원화의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는 이유는 무역수지 적자입니다.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하면 국내에서 달러가 부족해지므로 원화의 가치가 하락합니다. 외국인 투자가 감소하는 것도 원화를 약세로 이끌 수 있습니다. 외국 투자자들이 국내 자산에서 자금을 인출하면 달러가 유출되어 원화의 가치가 하락합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달러화에 비해 원화가치의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 물가상승은 단순히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며 글로벌적인 문제로서 미국도 고금리 정책등을 통해 달러가치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금리정책 등 만으로 원화가치에 대한 방어가 어려운 상황으로 보입니다.
반대로 일본의 경우 전세계적인 금리인상 시기에도 낮은 금리를 유지하며 경제활성화 방안을 내놓았는데, 이로 인해 현재 엔화의 가치는 매우 낮은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급격한 원화의 상승세는 물가상승과 더불어 더욱 심화되는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할 시점인 것을 알려주는 사인입니다. 현재 원화의 상승 주요 원인으로 보이는 것은 글로벌 금리가 인상되고, 한국과 미국간의 금리 차이가 확대되었으며 미국의 경제 회복이 기대되고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심리가 증가하여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 미국의 달러가 워낙 강세이기에 우리나라에게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입니다.
한국은행이 환율 방어를 위하여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바, 이로 인하여 현재 일본에 비하여는 환율 상황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 속에서 정부가 물가 억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높은 수입물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약세 윈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원화강세의 가장 큰 원인은 미국의 금리 인상 정책 대비, 한국은 상대적으로 느린 금리 인상 속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금리 차이는 국제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을 유도하여 원화 수요를 증가시킨다고 볼 수도 있으며, 한국의 지속적인 무역흑자는 외환 시장에 달러 공급을 증가시키고, 이는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