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10.29

중국에서의 유교사상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우리나라의 유교사상은 조선시대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아 전달되었는데요.

그럼 이런 유교사상의 기원인 중국은 언제부터 유교가 발달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에서 유교가 발달되기 시작한 시기는 기원전 5세기, 공자가 활동하던 시기로 알려져있습니다. 공자는 혼란스러운 춘추시대 말기의 사회를 바로 잡기 위해 인간의 본성인 '인(仁)'을 바탕으로 한 도덕정치를 강조하였으며 그의 가르침은 이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의 시작은 전국시대(기원전 403~221)에제자백가의 하나인 유가(儒家)로 등장했지만, 전한의 무제(재위 기원전 141~87) 때

    국가 정통의 학문이 된 후로는 중국의 학문과 사상계를 대표하게 되어 현대의 중국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정치와 국민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는 춘추시대 태동한 제자백가의 한 분파로 공자가 이전 시대의 문화와 사상을 정리한 유가를 후대 공자학파의 사상가들이 계승해 체계화한 중국 사상종교의 한 종류입니다.

    제자백가시대 유가는 한나라 때부터 농가, 도가, 음양가 등 다른 여러 사상을 조금씩 흡수, 중세의 성리학은 불교나 도교에서 여러 형이상학적 요소를 차지해 계속 보완되어가며 19세기까지 정치, 제도, 철학, 종교 등 넓게 걸쳐 동아시아 세계 모든 분야의 근간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유교의 사상적인 기초는 공자가 이상화한 주공단으로 상징되는 주나라의 종교이자 종법질서로, 주나라의 종법질서는 왕위 계승 분쟁 등을 해결하기 위해 서서히 만들어졌습니다.

    주나라는 다양한 문헌을 만들었는데 이 가운데 유교에서 채택된 것이 삼경으로 이는 시, 역, 서 입니다.

    이는 주나라 시기에 기반을 두고 춘추시대에 점진적으로 편찬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춘추시대 노나라의 공자가 인과 예를 강조하고 도덕과 예의로 다스리는 덕치주의와 정명론 대동사회를 주장한 유가사상을 확립하였습니다. 공자와 그의 제자들인 자로 자고 안연 증자 등 20여명은 도덕정치를 알아줄 제후를 찾아나섰지만 춘추시대의 사회적혼란 상황에서 영토확장만 염두에 둔 제후들은 뜻이 없었습니다. 결국 공자는 더이상을 뜻을 펼칠 수 없어서 자신의 고향인 노나라로 돌아가 역사서인 춘추를 집필하는 것으로 생을 마감합니다. 공자 사후 100년 뒤에 맹자라는 걸출한 인물이 나왔습니다. 맹자는 춘추시대보다 더 혼란스러운 전국시대에 인과 의를 강조하며 왕도정치(덕치+역성론)를 주장하였고 성선설과 호연지기를 강조하였습니다. 또 다른 측면에서 공자의 사상을 이어받은 순자는 예를 강조하고 성악설을 주장하며 화성기위를 주장합니다. 이후에 진나라의 시황제는 법가사상을 기반으로 중국을 전하통일하면서 자기 노선에 반대하는 유학자들을 생매장시키고 유교경전들을 불살라버리는 분서갱유를 저지르게 됩니다. 한나라 때 유학은 국학이 되고 경전을 복원시키는 훈고학과 경학의 모습으로 나타났고 송나라 때 본격적으로 성리학으로 명나라 때는 양명학으로 청나라 때는 고증학의 모습을 띄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고려 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성리학이 도입되어 조선 500년 역사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 원류로 분류되는 것은 바로 공자때부터입니다. 그 제자인 맹자가 공자사상을 정리해 퍼뜨렸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