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향기좋은민들레285
향기좋은민들레28523.04.30

단백질 합성에 관해서 단계를 알고싶어요

단백질은 합성하기 위해서 각 단계를 거친다고 하던데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단계들을 순서대로 나열하고 각 단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물체 내의 단백질은 그 생물의 유전자에 의하여 합성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개체마다 다른 형태나 기능의 차이는 각 개체 내의 단백질 종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단백질은 생물체의 중요한 구성성분이며 또 효소로써 우리 몸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다. 식물이나 미생물은 필요한 단백질을 스스로 합성할 수 있으나, 동물은 그러한 능력이 없기에 음식물로 단백질이나 아미노산을 섭취해야 한다. 대체로 동물성 단백질이 식물성 단백질보다 영양가가 많으며, 생체 단위중량당 단백질 함유량도 동물성이 높다. 단백질은 그 종류에 따라 아미노산 종류와 양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단백질을 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 분자생물학에서는 Central dogma라는 생명체의 중심원리라는 것이 있는데요, 이는 DNA -> RNA -> 단백질로 진행되는 유전정보의 흐름을 말합니다. DNA에 암호화되어있는 유전정보를 토대로 mRNA가 합성되는 전사가 일어나며, mRNA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리보솜에 결합하여 단백질을 합성하게 됩니다. 이때 리보솜이란 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소기관이며 대단위체와 소단위체로 나뉘는데요, 인간의 경우 40S의 소단위체와 60S의 소단위체가 결합하여 80S의 복합체를 이루고 있습니다. 리보솜에 mRNA가 결합하면, mRNA의 코돈에 따라 이와 상보적인 서열의 안티코돈을 지닌 tRNA가 특정 아미노산을 데리고 와서 폴리펩타이드 서열이 합성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 가지 아미노산을 합성하여 단백질을 만드는 일. 세포 안의 유리아미노산에서 특정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생체 내 합성과, 화학적으로 아미노산을 중합하는 생체 외 합성이 있습니다.

    단백질의 합성 과정에 대하여 다음 3단계를 거쳐 단백질이 합성이 됩니다.

    1. 개시반응(개시암호) → 2. 펩티드신장 → 3. 정지반응(정지 암호)

    → 상기 단백질 합성과정을 요약한다면 상위 신경계에서 시그널이 세포에 핵으로 가게 되면 핵에서는 DNA와 똑같은RNA를 복제 하고 이 RNA는 핵을 나와 소포체로 이동해서 무과립소포체 를 통해 RNA가 유과립소포체로 이동하고 유과립소포체에서는 리보솜이 붙어있어 이 리보솜에 의해 RNA정보가 단백질로 합성이 됩니다.

    이 합성된 단백질은 골지체를 통해 이동하여 세포 막 부위로 와서 밖으로 배출되는데 이것이 단백질 합성 과정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