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를 통한 부동산 취득 리스크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여러 사유로 부동산이 법원에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경매로 넘겨지면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경매를 통한 부동산 취득 리스크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반갑습니다.
네이버카페 <유쾌명쾌 부동산경매> http://cafe.naver.com/reauc
운영자이자,
유투브 경매방송 <부동산경매, 초보가 고수되기>
진행자 김명석입니다.
경매시 리스크는 여러 수백가지여서 일일이 다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한가지를 말씀드리자면 대항력 있는 임차인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임차인이 대항력이 있으면 보증금 전액을 배당받지 못한 잔여금은 낙찰자가 낙찰대금과는 별도로 물어줘야 합니다. 따라서 아무리 싸게 사더라도 임차인의 보증금 이하로는 매수불가능합니다.
시세 5억 아파트를 3억에 낙찰을 받았다고 좋아할 수 있지만 보증금 4억을 별도로 물어줘야 한다면 결국 7억에 매수하는 꼴입니다. 시세보다 2억을 더 주고 산 꼴입니다.
***부동산경매 대행 및 건설팅 문의 010-4389-1819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경매는 부동산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부동산에 대한 권리, 명도, 하자 등의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사전에 권리분석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고 점유자나 하자에 대한 확인 등 철저한 분석 및 대책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도 낙찰 후 추가비용이 소요되거나 소유권 분쟁 등이 없도록 권리분석을 먼저 실시해야하고, 노후된 건물이나 관리가 잘 되지 않은 물건은 하자를 확인해야하며, 점유자가 있는 경우에는 명도소송 등을 통한 진행과 추가비용 등을 예상해야하며, 낙찰금액이외에 세금이나 등기비용, 명도비용 및 수리비용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매는 일반 매매 보다 좀 더 저렴하게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낙찰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고 또한 권리분석을 잘 못할 경우 예를 들면 인수해야 할 권리(보증금)가 있을 경우 일반 시세보다 더 비싸게 낙찰을 받을 수 있는 위험도 있고 또한 낙찰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기존 점유자가 쉽게 나가지 않을려고 하고 집을 엉망으로 만들고 나간다고 협박을 하면서 과도한 이사비를 요구하는등의 명도부분에 리스크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한 비용을 좀 더 가만해서 낙찰대금을 설정을 해야 하는 복잡함도 있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여러 사유로 부동산이 법원에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경매로 넘겨지면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경매를 통한 부동산 취득 리스크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 우선적으로 권리분석 상 하자가 발생되는 경우, 물건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오롯이 낙찰자가 부담을 해야하는 만큼 이를 참고하시여 철저한 권리분석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권리분석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시가보다 높은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고집 내부를 보고 매매하는게 아니니, 집 상태에 따라 수리비가 과도하게 청구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파트는 사실상 경매나 초급매 매물이나 가격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안녕하세요. 김재철 공인중개사입니다.
경매시에는 가장 중요한 것이 부동산 권리분석입니다.
즉 경락으로 인하여 소멸되는 권리와 소멸되지 않는 권리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단 경매로 취득한 물건에는 선순위 임차권, 가압류, 가처분 등의 권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낙찰자가 이 권리를 인수하게 되어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경매로 부동산을 취득하면 시세보다 싸게 살수 있지만 권리 관계가 복잡한 경우가 많습니다. 유치권, 대항력있는 임차인, 하자 문제 등이 대표적인 리스크입니다. 입찰 전 등기부 확인과 현장 실사가 필수입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경매 부동산을 취득하시는 경우에는 권리 관계외 명도 문제 그리고 입찰 조건과 자금 운용 등 여러 리스크를 사전에 철저하게 파악을 하고 대비하셔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