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장군이 아빠
장군이 아빠22.12.04

머리 둘레 큰 아기 정밀 검진 받아야할까요?

나이
2
성별
남성

13개월된 저희 아이가 최근 영유아 검진을 받았더니 마리 둘레가 상위 98%라고 정밀검진을 한번 받아보라는 이야기가 있네요.. 병원에서는 반드시 받아야된다는 말을 하지는 않았지만 상위 95% 이상 되면 일단 정밀검사대상이라고만 이야기하는데 정말 받아야되는건지 모르겠네요.. 검사를 받는게 좋다면 이제 갓 돌 지난 아기를 CT 찍어도 괜찮은건지 문의드립니다.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우선은 이마와 뒤통수의 가장 튀어나온 부위를 줄자로 정확하게 측정했는지 확인을 해보는게 좋겠습니다.

    아마 병원에서도 측정상 정상범위가 아니면 다시 한번 더 측정은 해보셨을 거라고 생각은 됩니다.

    머리 둘레가 큰 경우에 혹시나 fontanelle라고 하는 숨구멍을 만져봤을 때 팽창되어있다면 머리 내부 압력이 증가한 상황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질환으로 뇌수종, 만성 경막하출혈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발달에 문제가 없었고 지금도 신경학적인 이상이 없다면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혹시 몰라서 진료를 받아보신다면 CT나 MRI 검사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신생아도 필요시에 CT를 찍으니까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발달에서 표준 분포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더라도 내원하시어 영유아 검진 및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면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어떤 것이든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이라면 다른 이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사를 하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소아신경과 등 내원하시어 이상 여부 감별하시고, 특별한 이상 없으면 경과관찰 하시는 것으로 충분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주영 의사입니다.

    아이 때문에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가능성이 낮긴 하지만 간혹 머리둘레가 큰 경우 수두증이나 뇌가 올바르게 발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정밀검사가 필요하답니다.

    대학병원급 소아과에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