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배드뱅크의 설립사례를 알려주세요
최근 한국에서 배드뱅크설립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오면서 찬반론도 많고 이슈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과거 배드뱅크의 설립사례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과거 배드뱅크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멀지 않은 과거인 2022년도에도 이른바 새출발기금이 가동되었다고 합니다.
이 역시도 배드뱅크의 한 형태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드뱅크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미국 저축대부조합 위기 당시 도입된 모델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외환위기 당시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부실채권 정리기금을 조성하여 부실채권을 인수한 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배드뱅크 사례는 1997년 IMF 금융위기에서 부실채권정리 기금을 설치해서 약 148조를 정리했었고, 이후 2009년초 민간 주도 배드뱅크가 설립됐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드뱅크라고 하는 것은 부실한 채권이나 자산을 인수하여 처분하는 기관을 말합니ㅏㄷ. 이를 활용하는 이유는 결국 금융기관의 재정 건정성을 확보하여, 시장에서의 가능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설립의 경우 국가주도나 민간주도 또는 혼합형으로 다양하게 설립이 됩니다. 이러한 것의 경우에 한국에서는 캠코 부실채권정리기금을 통해 imf기간 부실채권을 정리한 경우가 있씁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많은 기업과 은행이 부실화되면서 대규모 부실채권이 발생했습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정부 주도로 각 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기존의 성업공사가 외환위기 이후 부실채권 정리 전문기관인 캠코로 전환되면서 배드뱅크 역할을 본격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캠코는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매입하여 자체적으로 회수하거나 매각하는 방식으로 금융 시스템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정부와 민간 금융회사 출연금을 합쳐 약 33조 원 규모의 부실채권정리기금이 마련되었습니다. 이 기금을 통해 캠코는 총 39.2조 원의 부실채권을 인수하고 46.7조 원을 회수하는 등 성공적으로 부실을 정리했습니다. 이 시기의 캠코는 기업 부실채권을 주로 다루는 '기업형 배드뱅크'의 성격이 강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베드뱅크는 1997년 IMF 외환위기 때 대규모 부실채권을 처리하기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등장했습니다. 2003년 카드대란 때도 한마음금융 등 배드뱅크가 신용물량자 채무조정에 활용됐습니다. 이후 민간 주도 배드뱅크와 국민행복기금 등 다양한 형태로 부실채권 정리와 신용 회복 지원에도 사용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1988년 미국 Grant Street National Bank 사례가 유명합니다. Mellon Bank이 부실 자산을 분리하기 위해 1988년 설립했는데요. 독립된 구조로 부실 자산 관리에 집중하여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미국 저축대부조합 위기로 수천 개의 부실 금융사가 파산하자 정부가 FSLIC 해체 후 RTC를 설립, 약 1,339개 부실기관의 자산을 인수 및 정리한 사례도 있습니다.
그리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2년 스페인 부동산 시장 붕괴에 따라 Sareb를 설립하여 은행들의 NPL(부실채권)을 매입하여 정리한 사례가 있습니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축은행 연쇄부실이 발생하던 시기에 부실 저축은행 정리를 위해 부실채권 매입과 처분을 담당했던 '연체채권전문 유동화회사'가 있었습니다.
한시적 배드뱅크 성격의 기관으로 금융당국 주도 하에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안녕하세요.
IMF이후 한국 자산관리공사가 배드뱅크의 설립사례입니다.
금융기관의 부실자산이 급증했고 캠코가 부실채권정리기금을 운용하며 은행의 부실채권을 매입하고 관리했지요
약 100조 원 규모의 부실자산을 정리. 자산 매입 후 매각을 통해 일부 수익 회수.
금융시장 안정에 핵심 역할 수행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외국 사례를 보면 1990년대 스웨덴에서 위기가 발생시 정부 차원에서 배드뱅크를 설립하였으며 미국에서도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가 발생하면서 미정부가 배드뱅크와 비슷한 프로그램으로 민간의 부실자산을 인수해주는 형태의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한국에서도 IMF위기당시 한빛은행 배드뱅크 설립을 통해서 당시 민간의 은행위기를 진작시켰던 사례가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