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주4일 근무제가 도입된다면 어떤 장단점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만약 주4일 근무제가 실제로 도입이된다면 어떤 장점과 단점들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주 4일 근무제 도입의 장점으로는 근로자의 워라밸 향상, 스트레스 감소 및 생산성 증가가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기업의 인건비 증가, 업무 조정의 어려움 및 일부 산업에서의 효율성 저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주 4일제가 도입된다면 근로자들의 피로 회복이 가능하여
산재 등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주당 근무일을 줄이면 일자리 창출, 생산성 향상, 직원의 스트레스를 줄이며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근로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임금이 삭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속감, 조직 적응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 유연근로시간제를 활용하여 주 4일 근무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실제 유연근로시간제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면,
1주에 4일을 근무일하고 3일을 쉬게 되면서 휴일이 늘어나서 근로자들의 워라밸(Work & Life Balance)가 좋아졌다는 응답이 있었고, 주 4일을 출근하다 보니 출퇴근 스트레스 등이 상대적으로 줄어서 좋다는 응답, 현재는 주5일을 근무하는 사업장이 많으므로 주 4일 근무를 하는 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좋은 인재를 유입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장점으로 꼽았습니다.
단점을 살펴보면, 현재 주 4일제의 경우 근무시간의 총량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근무일수를 줄이는 경우가 많다보니 1일 근무시간이 기존보다 늘어나서 근무하는 날의 피로도가 높다는 점, 실제 사무실에 출근하여 구성원들 간에 소통할 수 있는 날이 줄어들어서 업무효율성 및 생산성 등이 떨어진다는 점, 업무 특성에 따라 주 5일을 근무해야 하는 경우 부서 별로 갈등이 발생하는 점 등을 단점으로 꼽았습니다.